처용랑-헌강왕

처용랑-헌강왕

분류 문학 > 이상적인물형 > 존숭(尊崇)형

• 갈래 : 전설
• 시대 : 삼국
• 신분 : 왕족
• 지역 : 영남
• 출처 : 삼국유사 (권2)
• 내용 :
신라 제49대 헌강왕 때 나라 안이 평온했다. 왕이 개운포(開雲浦)로 유람 나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바닷가에서 쉬고 있었는데 한낮에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끼고 길을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깜깜해져 모두 놀랐다. 일관(日官)이 아뢰기를, “이것은 동해용이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니, 좋은 일을 행하여 위로해야 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임금이 곧 용을 위해 이 근처에 절을 지어 주겠다고 약속하니, 금방 안개가 걷혀, 그곳 이름을 ‘개운포’라고 했다.

얼마 후 동해용은 기뻐하면서 일곱 아들을 거느리고 임금 앞에 나와 모습을 드러내고, 왕의 공덕을 찬양해 춤을 추고 음악을 연주해 보였다. 용은 아들 하나를 임금에게 딸려 보내 왕정을 보좌하게 했는데, 그의 이름이 ‘처용’이다. 왕은 처용을 서울에 머물러 있게 하려고, 그에게 급간직(級干職)을 내려주고 또 미녀를 아내로 삼아 주었다. 이때 역신이 처용 아내의 아름다움을 흠모해, 사라 모습을 하고 밤에 그 집으로 가서 그녀와 동침하고 있었다. 마침 처용이 집으로 돌아와 보니 아내가 어떤 남자와 자고 있기에, 곧 노래하고 춤추며 밖으로 나왔는데, 그 당시 부른 노래가 향가 <처용가>이다.

그 노래는, “서울 달 밝은 밤에 밤늦도록 노니다가, 들어와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둘은 내 것이지만 둘은 누구의 다리인고 본래 나의 것이지만 남에게 빼앗기니 이를 어찌하리” 라고 했다. 역신은 처용의 대범한 행동을 보고 감동하여 모습을 드러내고 처용 앞에 꿇어앉아, “내 공의 아내를 흠모해 이렇게 범했습니다만 공이 성내지 않고 태연하니, 이후로 공의 모습을 그린 그림을 보면, 결코 그 문에는 들어가지 않겠습니다.”라고 말하고 사라졌다. 이후로 사람들은 처용을 그림으로 그려 문 위에 붙여, ‘사기(邪氣)를 물리치고 복을 가져오게 하는 방법(邪進慶)’으로 삼았다. 왕은 곧 영취산 동쪽 기슭에 용을 위해 절을 짓고 망해사라 했는데, 이 절은 또 신방사라고도 불렀다.

헌강왕은 또 포석정에 갔을 때에도 남산 산신이 나타나 어전에서 춤을 추었다. 그러나 다른 사람 눈에는 그 산신의 춤추는 모습이 보이지 않았는데, 왕이 그 춤의 모습을 그대로 흉내 내어 나타내 사람들에게 보여주었다. 그때 산신 이름을 ‘상심(祥審)’이라 말하는 사람이 있어서, 이 춤을 ‘어무상심(御舞祥審)’이라 했고, 후대에까지 전해졌다. 또 이 춤 이름을 ‘어무산신(御舞山神)’이라고도 하며, 또는 당시 신이 춤을 추어 보인 것을 그 모습대로 공인(工人)을 시켜 모각(模刻)하게 해, 뒷사람에게 보여주었다고 하여, 그래서 ‘상심(象審)’이라 일컫는다는 설도 있다. 그리고 그 수염이 많이 난 모습 때문에 ‘상염무(霜髥舞)’라고도 했다. 헌강왕이 금강령에 갔을 때도 북악의 신이 나타나 춤을 추었는데, 그 춤을 ‘옥도검(玉刀鈐)’이라 했다. 또 동례전 잔치 때도 지신이 나와 춤을 보여주어, 그 춤 이름을 ‘지백급간(地伯級干)’이라 했다.

《어법집(語法集)》에 의하면 헌강왕 때 산신이 나와 춤을 추고 ‘지리다도파(智理多都波)’라 말했다고 했다. 이 말은 “지혜로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도망하려는 사람이 많다.”라는 뜻으로, 산신과 지신이 나라가 장차 망할 것을 말하면서 춤을 춘 것인데, 사람들은 이를 모르고 상서로운 것으로 착각하였으며, 향락만을 일삼다가 마침내 나라가 망한 것이다.

연관목차

785/1461
존숭형
처용랑-헌강왕 지금 읽는 중
청빈형
도량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