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종법

견종법

[ 畎種法 ]

시대명 조선

밭을 갈아 이랑과 고랑을 내고 고랑에다 씨를 뿌리는 파종법.

조선  중기 이후 급속히 보급되었다. 작물은 그 종류에 따라 생육환경이 다르므로 이나 만종법과 비교해 어느 것이 좋다고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견종법은 가뭄에도 싹이 잘 트며 수분의 보존이 쉽고 보온의 효과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통풍이 잘되며 작물이 바람에도 잘 견디고 중경제초(中耕除草)도 쉬워 수확량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배수가 잘되지 않으므로 주로 수재의 염려가 적은 보리·밀·귀리 등의 겨울작물을 파종할 때 사용된다. 다만 여름작물이라도 조생 조나 기장을 모래성분이 많은 밭에 심을 때는 견종법을 사용한다.

조선 후기에는 보리·조·콩 등 밭작물의 농사에 견종법이 사용됨으로써 생산량의 증가와 노동력의 절감을 가져와 논농사에서의 의 확대와 더불어 농업생산력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경작지의 확대와 부농의 등장, 등 농촌사회에 일련의 변화를 촉진시켰다. 그러나 보리 농사에는 조선 전기부터 이미 견종법이 사용되었다는 주장 등 여러 가지 다른 설도 제기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 견종법의 보급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