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평책

탕평책

[ 蕩平策 ]

시대명 조선

조선 후기 영·정조 때 당쟁을 완화함으로써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행한 정책.

「탕평」이란 홍범조(洪範條)에서 나온 말로 「어느 편에도 치우치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임란 이후 격화된 당쟁은 왕권 자체에도 위협을 주었다. 이에 영조는 당쟁의 폐단을 지적하고 탕평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교서를 내리는 한편, 노론과 소론의 화목을 권장하고 당쟁에 관계된 유생들의 상소를 금했으며, 이 시책에 호응하지 않는 관리들을 파면했다. 또한 탕평의 의지를 과시하기 위해 입구에 탕평비를 세우기도 했다. 이는 특정한 당파의 정권독점을 배제하고 각 당파의 연합을 통해 정치를 함으로써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의 집권이 계속되어 이나 은 높은 벼슬에 오르지 못했으며, 사건을 계기로 서인에서 시파와 벽파가 대립해 같은 당파 안에서도 다른 입장을 취함으로써 오히려 당쟁이 악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정조도 영조의 탕평책을 계승했다. 정조의 탕평책은 영조와는 달리 각 당파의 인물을 고루 등용하기보다는 의리를 중시하고 능력있는 인물을 등용하는 사림정치의 원리를 실천하려는 방향이었다. 정조는 관리의 임명에 노론과 소론을 가리지 않았으며, 남인을 영의정에 앉히고 출신의 학자도 능력이 있으면 요직에 등용해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서인의 집권에는 변함이 없어 그 내부에서 당쟁이 계속되었으며 정조 이후에는 점차 외척과 연결된 의 형태로 바뀌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