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숙종 26년, 경진년(庚辰年), 1700년

조선 숙종 26년, 경진년(庚辰年), 1700년

1월 5일

• 종신(宗臣)인 이병(李炳)과 이제(李梯) 등이 《선원계보기략속(璿源系譜紀略續)》을 올리니 이를 인쇄하게 함.

1월 9일

• 관상감(觀象監)에서 월식(月蝕)이 1월 15일에 있음을 아뢰자 날짜가 임박하여 외방에 행회(行會)하지 못하고, 다만 한성의 각 관청으로 하여금 구식(救蝕)하게 함.

1월 12일

• 임금이 태묘(太廟)에 배알(拜謁)함.

2월 3일

• 강현(姜鋧)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3월 15일

• 왕세자가 영소전(永昭殿)에 배알(拜謁)함.

4월 5일

• 하향대제(夏享大祭)를 친히 행함.

4월 16일

• 동평군(東平君) 항(杭) 등이 상소하여 동선군(東善君)이 올린 《선원보략(璿源譜略)》속책(續冊)이 소루(疏漏)한 곳이 많다 하여 교정청(校正廳)을 설치함.

5월 27일

• 오도일(吳道一)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6월 5일

• 임금이 대신과 비변사의 여러 신하들을 인견(引見)하고, 도성의 여염집들이 도로를 침범한 것과 한성 산의 송충이 구제 등에 관해 논의함.

6월 16일

• 이광하(李光夏)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4일

• 《선원보략(璿源譜略)》이 완성되니 인정전에 모셔두고 상을 내림.

8월 6일

• 동래(東萊)의 상고(商賈)인 김자원(金自元) 등이 관왜(館倭)와 몰래 내통하여 인삼을 팔았으므로 관문 밖에 효시(梟示)함.

8월 8일

• 임금이 현릉(顯陵)에 거둥하여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건원릉(健元陵) · 목릉(穆陵) · 휘릉(徽陵) · 숭릉(崇陵)을 배례(拜禮)함.

8월 27일

• 금년(1770)의 새 적곡(糴穀)을 옛 적곡에 준하여 바치고, 숙종 21년(1695)과 22년 · 23년에 대해서는 포흠(逋欠)의 다소와 이전(移轉)의 유무에 따라 혹은 절반으로 혹은 1/3을 수봉(收捧)하도록 하되, 강도(江都)와 남한산성에는 당년 조 외에 1년 조를 더 바치게 하라고 명함.

8월 28일

• 임금이 춘당대(春塘臺)에서 시사(試射)를 관람함.

9월 1일

• 임금이 오시(午時)에 우레가 진동하고 폭우가 쏟아졌으므로 시사(試射)를 그만두게 함.

9월 2일

• 문무시(文武試)를 베풀어 문과 3명을 뽑고, 시사(試射)에 입격(入格)한 사람에게 가자(加資)하고 수령과 변장(邊將)을 삼음.

9월 25일

• 도성 동쪽 성밖 조계(曹溪) 근처에 생소나무를 벤 것이 많아 전 · 현직 감역(監役)을 파직함.

10월 9일

• 도둑이 영녕전(永寧殿)의 악기와 유종(鍮鍾)을 훔쳐갔으므로 포도청에 내려 신문하여 다스리게 함.

10월 22일

• 대신과 재신(宰臣) · 삼사(三司)와 함께 수령 임명 · 과옥(科獄) 죄인 처벌 등에 관해 논의함.

11월 1일

• 얇은 옷을 입은 군사들에게 유의(襦衣)를 지급하도록 함.

11월 18일

• 엄집(嚴緝)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21일

• 승지를 전옥(典獄)에 보내 죄가 가벼운 죄수를 석방하게 함.

11월 24일

• 여러 도의 기근으로 전몰(全沒)한 자의 적곡(糴穀)을 탕척(蕩滌)한 수는 곡식이 7,748섬, 각종 명목의 군포(軍布)가 161동(同) 391필(疋), 각 군문(軍門)의 보미(保米)는 908석, 전문(錢文)은 5,840냥임.

12월 3일

• 숙종 14년(1688)의 예에 의거하여 형옥아문(刑獄衙門)과 호조 · 양사(兩司) · 한성부 · 장례원(掌隷院)으로 하여금 일체 개좌(開坐)하도록 함.

12월 6일

• 묘당(廟堂)으로 하여금 여러 도 가운데 전곡(田穀)이 더욱 심하게 재해를 입은 곳을 구별하여 세두(稅斗)를 헤아려 감면하게 함.

• 근래 여러 해 거듭된 기황(饑荒)으로 인해 각사(各司)와 방민(坊民)이 얼음을 저장하는 값으로 주는 쌀을 진청(賑廳)과 호조로부터 반을 나누어 내어주게 함.

12월 9일

• 종묘 · 사직 · 북교(北郊)에서 기설제(祈雪祭)를 행함.

12월 13일

• 사헌부가 궁장(宮庄)의 절수(折受)에 따른 폐단을 논핵(論劾)함.

연관목차

991/1457
신사년(辛巳年), 17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