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영조 19년, 계해년(癸亥年), 1743년

조선 영조 19년, 계해년(癸亥年), 1743년

1월 10일

• 조관빈(趙觀彬)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21일

• 인일제(人日製)를 시행하여 수석을 차지한 진사 유건(柳健)은 직부전시(直赴殿試)하게 하고 나머지는 모두 급분(給分)하도록 함.

1월 25일

• 처음으로 정시(庭試) 초시(初試)의 법을 시행함.

• 성균관으로 하여금 거재유생(居齋儒生)의 원점절목(圓點節目)을 다시 정하도록함. 유생으로서 생원 · 진사가 된 100명에 한해 거재(居齋)하게 하되 방차(榜次)를 전후의 차례로 삼고, 아침 · 저녁 식당에 참석한 것을 1점으로 하되 50점을 기준으로 함.

1월 28일

• 임금이 한성부 오부(五部)의 관원을 불러들여 백성들의 고통에 대해 묻자 부관(部官)이 답하기를, 방역(坊役)이 균등하지 못하여 백성들이 명령을 감당하지 못한다 하자 절목(節目)을 만들게 함.

• 한성부 오부가 형조와 마찬가지로 사송아문(詞訟衙門)인데 오부의 도사(都事)는 형조의 낭관(郎官)과 같이 여섯 달이 지나면 고을 수령에 제수하도록 함.

2월 11일

• 김시형(金始炯)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28일

• 숙묘(肅廟) · 경묘(景廟) 때의 교서(敎書)는 대제학이 찬진(撰進)하였고, 현묘(顯廟)의 관례 때는 대사성이 찬진하였는데, 이번에는 예문관제학 원경하(元景夏)에게 찬진하도록 함.

3월 6일

• 전옥(典獄)의 죄수가 전염병에 걸려 죽었다 하여 옥관(獄官)의 직려(直廬)를 옥문 밖으로 옮기고, 치옥문서(治獄文書)를 들이지 못하게 함.

3월 21일

• 반궁(泮宮)에서 선비들을 시험 보여 진사 윤득민(尹得敏)을 직부전시(直赴殿試)하게 하고, 나머지는 모두 급분(給分)함.

4월 1일

• 임금이 태묘(太廟)의 하향(夏享)을 지내고자 인정전 남쪽 계단에서 서계(誓戒)를 받음.

4월 16일

• 임금이 가뭄으로 경회루(慶會樓)의 연못을 준설하도록 함.

4월 30일

• 임금이 영화당(暎花堂)에 거둥하여 대사례(大射禮)의 습의를 관람함.

윤4월 2일

• 삼각산 · 목멱산 · 한강에서 1차 기우제를 지내도록 함.

• 대사례(大射禮)를 시행함에 있어 한량(閑良)은 당연히 응시할 것이나 양도(兩都)와 제도(諸道)의 출신 장교는 도신(道臣) · 수신(帥臣)으로 하여금 일순(一巡)으로 시취(試取)하게 함.

윤4월 7일

• 매우 가물었는데, 전날 밤에 비가 내렸으므로 임금이 기뻐하여 태학(太學)에 나아가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희우관덕(喜雨觀德)’으로 글제를 내어 시사(試士)함.

윤4월 28일

• 성 안의 개천을 준설(浚渫)하고, 헌현(軒懸)을 철거하도록 함.

5월 7일

• 임금이 북교(北郊)에서 기우제를 행하고, 창의문루(彰義門樓)에 나아가 옛일을 되새겨 시를 짓고 이를 새겨 걸도록 명하고, 정사공신(靖社功臣)의 성명을 판자에 열서(列書)하도록 함.

5월 17일

• 큰 비가 내리고 예조에서 수표교(水標橋)의 물이 1척임을 아뢰니, 태묘에 보사제(報謝祭)를 행하도록 함.

5월 20일

• 다시 비가 내리지 않아 송인명(宋寅明)을 선농단(先農壇)에 보내 기우제를 지내게 하고, 후원(後苑)에서 향을 피우고 기도하였는데, 이날 비가 내림.

6월 3일

• 경조당상(京兆堂上) 김성응(金聖應)과 원경하(元景夏)로 하여금 인조께서 잠저(潛邸)에 계실 때의 호적을 이미 본궁(本宮)에 봉안하였으니, 효종께서 잠저에 계실 때의 호적을 경조에서 상고해 내어 함께 봉안하도록 함.

6월 12일

• 임금이 가뭄으로 우사단(雩祀壇)에 기도하려고 하는데, 먼저 스스로 인책하는 뜻으로 친히 윤음(綸音)을 써서 내리고 경조(京兆)로 하여금 미리 청도(淸道)하도록 함.

7월 6일

• 이익정(李益炡)을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7월 17일

• 해부(該部)로 하여금 흥인문(興仁門) 안에 모옥(茅屋)을 한 칸 세우고 온종일 기도한 자를 과죄(科罪)하고 모옥을 훼철함.

8월 16일

• 정석오(鄭錫五)를 한성부판윤으로, 권적(權樀)을 한성부좌윤으로 삼음.

10월 30일

• 이하원(李夏源)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5일

• 오광운(吳光運)을 한성부좌윤으로 삼음.

연관목차

1035/1457
신사년(辛巳年), 17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