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영조 42년, 병술년(丙戌年), 1766년

조선 영조 42년, 병술년(丙戌年), 1766년

1월 1일

• 농사를 권장하는 전교를 전국에 내림.

1월 4일

• 한성 안의 거지에게 양식을 주고 죄가 가벼운 죄수를 석방하도록 함.

2월 29일

• 중시(重試) 대거(對擧)의 정시(庭試)를 설행하여 3명을 뽑음.

4월 7일

• 초파일에는 전례에 따라 관등(觀燈)하도록 함.

5월 21일

• 유현장(柳顯章)을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6월 8일

• 임금이 선원전(璿源殿)에 나아가 예를 행한 뒤 육상궁(毓祥宮)에 나아가 전배(展拜)하고, 근정전 옛터에 들렀다가 환궁함.

6월 9일

• 임금이 숭정전(崇政殿) 월대(月臺)에서 거안(擧案)한 유생을 시험하여 한성의 수석을 차지한 민정렬(閔鼎烈)과 시골의 수석을 차지한 송환억(宋煥億)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6월 15일

• 임금이 태묘(太廟)와 영녕전(永寧殿)에 나아가 전배(展拜)를 마치고 대신에게 봉심(奉審)하도록 함.

6월 18일

• 심각(沈瑴)을 한성부좌윤으로, 정기안(鄭基安)을 우윤으로 삼음.

6월 21일

• 임금이 교자(轎子)를 타고 창교(倉橋)에 임하여 농사의 형편을 살피고, 경기 백성을 불러 농사 형편을 물음.

6월 23일

• 심수(沈鏽)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 김양택(金陽澤)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7월 20일

• 임금이 효장묘(孝章廟)에 거둥하였다가 환궁할 때 의열궁(義烈宮)에 들름.

7월 21일

• 김원택(金元澤)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7월 23일

• 한성부판윤 김원택을 체차(遞差)함.

7월 26일

• 임금이 의열궁(義烈宮)에 거둥하니, 왕세손이 수가(隨駕)하여 곡(哭)하며 재배례(再拜禮)를 행함.

7월 27일

• 김상철(金尙喆)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9일

• 임금이 명릉(明陵)에 나아가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경릉(敬陵)과 익릉(翼陵)에 나아가 봉심(奉審)하기를 명한 뒤 고양관(高陽館)에 거둥함.

8월 15일

• 임금이 창덕궁에 거둥하여 망배례(望拜禮)를 행하고, 회가(回駕)할 때 육상궁(毓祥宮)에 전배(展拜)함.

8월 17일

• 임금이 숭릉(崇陵)의 기신제(忌辰祭)에 쓸 향을 친히 전하고, 월대(月臺)에 나아가 향군(鄕軍)을 불러 각도의 농사 형편을 물음.

8월 18일

• 능원(陵園)에 친히 제사할 때와 전궁(殿宮)의 제향 때에 떡과 면 · 두부 · 탕 등을 준비하면서 한성부 각 부(部)에서 여인들로 하여금 대령(待令)하게 하여 민폐를 끼치는 것을 엄금하도록 명함.

8월 19일

• 임금이 저경궁(儲慶宮)과 육상궁(毓祥宮)의 중삭제(仲朔祭)에 쓸 향을 숭정전 뜰에서 친히 전함.

8월 29일

• 진연청(進宴廳)의 당상 · 낭청과 예방승지(禮房承旨) 이하의 상전(賞典)을 전례에 의해 거행하고, 전악(典樂) · 반감(飯監) · 원역(員役) · 공장(工匠)에게는 미포(米布)를 제급(題給)하도록 함.

9월 1일

• 임금이 모화관(慕華館)에 나아가 방포(放砲)를 시험함.

9월 3일

• 임금이 흥화문(興化門)에 나아가 사민(四民)을 불러 차등을 두어 쌀을 내려줌.

9월 28일

• 임금이 춘당대(春塘臺)에서 선비들을 시험하여 20명을 뽑음.

10월 17일

• 임금이 모화관에서 당상무신(堂上武臣)에게 삭사(朔射)를 시험함.

10월 25일

• 임금이 익릉(翼陵)의 기신제(忌辰祭)에 쓸 향을 숭정전 뜰에서 지영(祗迎)함.

11월 9일

• 신회(申晦)를 한성부판윤으로, 한광회(韓光會)를 한성부좌윤으로 삼음.

12월 9일

• 홍중효(洪重孝)를 한성부좌윤으로 삼음.

연관목차

1058/1457
신유년(辛酉年), 18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