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순조 13년, 계유년(癸酉年), 1813년

조선 순조 13년, 계유년(癸酉年), 1813년

1월 3일

• 왕대비(王大妃, 정조의 비인 孝懿王后 김씨)의 회갑일로 임금이 전문(箋文)과 표리(表裏)를 올리고, 인정전에서 하례를 받음.

1월 7일

• 김효건(金孝建)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15일

• 한성의 각사와 각영에서 1812년 회계장부를 올림

1월 22일

• 이상황(李相璜)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26일

• 종묘와 경모궁(景慕宮)에서 전배(展拜)함.

2월 9일

• 박종경(朴宗慶)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17일

• 영화당(暎化堂)에서 인일제(人日製)를 행함.

2월 19일

• 영화당(暎化堂)에서 춘도기유생(春到記儒生)을 대상으로 시험하여 강(講)과 제술에서 수석한 자를 직부전시(直赴殿試)하게 함.

2월 21일

• 영화당(暎化堂)에서 전경문신강(專經文臣講)을 행함.

2월 22일

• 영화당(暎化堂)에서 전경문신강(專經文臣講)을 행함.

2월 24일

• 영화당(暎化堂)에서 문신에게 제술(製述) 시험을 행함.

2월 26일

• 박종래(朴宗來)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28일

• 인정전에서 한학문신강(漢學文臣講)을 행함.

3월 1일

• 영화당(暎化堂)에서 서북별부료(西北別付料)에 대한 시사(試射)를 행함.

3월 7일

• 영화당(暎化堂)에서 이문(吏文, 조선시대 중국과 주고받는 문서에 쓰이는 독특한 용어)의 제술(製述)을 행함.

4월 12일

• 영희전(永禧殿)에서 작헌례(酌獻禮)를 함.

• 심상규(沈象奎)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5월 13일

• 삼각산 · 목멱산 · 한강에 기우제를 지냄.

5월 19일

• 박종경(朴宗慶)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6월 9일

• 정조의 어제(御製)를 정리자(整理字)로 인출하도록 함.

6월 10일

• 용산강과 저자도에서 재차 기우제를 지냄.

6월 13일

• 남단과 우사단에서 세 번째 기우제를 지냄.

6월 14일

• 비가 내려 기우제를 중지함.

6월 28일

• 정조 어제(御製)의 제목을 ‘정종대왕어제(正宗大王御製)’로 정함.

7월 8일

• 김희순(金羲淳)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4일

• 송전(宋銓)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15일

• 종묘와 경모궁(景慕宮)에서 전배(展拜)함.

8월 27일

• 증광감시(增廣監試) 초시(初試)를 설행함.

8월 28일

• 성균관에서 칠석제(七夕製)를 시행함.

9월 10일

• 증광 문 · 무과 초시를 설행함.

9월 11일

• 성균관에서 구일제(九日製)를 시행함.

9월 16일

• 인정전에서 추도기유생(秋到記儒生)을 대상으로 시험하여 강(講)과 제술에서 수석한 자를 직부전시(直赴殿試)하게 함.

9월 28일

• 증광감시(增廣監試) 복시(覆試)를 설행함.

10월 9일

• 김재창(金在昌)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13일

• 증광 문 · 무과 복시(覆試)를 설행함.

10월 22일

• 증광 문 · 무과 전시(殿試)를 시행하여 문과에서 51명, 무과에서 255명을 뽑음.

12월 15일

• 죄가 가벼운 죄수를 석방함.

12월 25일

• 죄가 가벼운 죄수를 석방하고 걸인들을 구휼하도록 함.

12월 29일

• 한성부에서 1813년 전국의 호구 수를 올림. 전국의 원호는 163만 7,108호, 인구는 790만 3,167명임.

이해

• 남한산성에 우희정(又喜亭)을 건립함.

연관목차

1106/1457
신유년(辛酉年), 18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