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순조 26년, 병술년(丙戌年), 1826년

조선 순조 26년, 병술년(丙戌年), 1826년

1월 6일

• 김상휴(金相休)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7일

• 임금이 왕세자와 함께 태묘와 경모궁(景慕宮)에 전배(展拜)함.

1월 15일

• 한성의 각사와 각영에서 1825년 회계장부를 올림.

1월 20일

• 임금이 경우궁(景祐宮)에서 전배(展拜)함.

1월 21일

• 임금이 영희전(永禧殿)과 저경궁(儲慶宮)에서 전배(展拜)함.

2월 2일

• 춘당대에서 한림소시(翰林召試)를 행함.

2월 3일

• 인정전에서 춘도기유생(春到記儒生)을 시험하여 강경(講經)과 제술(製述)에서 수석을 차지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게 함.

2월 6일

• 성균관에서 인일제(人日製)를 행함.

2월 8일

• 별시 문 · 무과 초시를 설행함.

2월 22일

• 임금이 화성 행궁으로 행차하여 유숙(留宿)함.

2월 23일

• 임금이 건릉(健陵)과 현륭원(顯隆園)에서 제사 지내고, 화령전(華寧殿)에 작헌례(酌獻禮)를 올림.

2월 24일

• 임금이 화성을 출발하여 환궁함.

2월 28일

• 어영청(御營廳)에서 1826년 1월 23일 발생한 화재가 해당 고직(庫直)이 포흠(逋欠)이 쌓인 것을 감추기 위해 고의로 방화하였다고 보고함. 해당 고직을 효수(梟首)하도록 함.

3월 10일

• 별시문과 전시(殿試)를 인정전에서, 무과 전시를 훈련원(訓鍊院)에서 실시하여 문과 3명, 무과 52명을 뽑음.

3월 17일

• 춘당대에서 서총대시사(瑞蔥臺試射)를 행함.

3월 20일

• 임금이 육상궁(毓祥宮) · 연호궁(延祜宮) · 선희궁(宣禧宮) · 장보각(藏譜閣) · 의소묘(懿昭廟)에 전배(展拜)함.

3월 22일

• 춘당대에서 문 · 무과 중시(重試)를 행하여 문과에서 3명, 무과에서 12명을 뽑음.

4월 14일

• 문형회권(文衡會圈)을 함.

4월 15일

• 김이교(金履喬)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5월 8일

• 임금이 경우궁(景祐宮)에 전배(展拜)함.

6월 16일

• 죄가 가벼운 죄수를 석방함.

6월 24일

• 군기시(軍器寺)로 하여금 해우(廨宇)를 개수하도록 함.

7월 28일

• 임금이 태묘와 경모궁(景慕宮)에 전배(展拜)함.

8월 12일

• 김유근(金逌根)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14일

• 숭릉(崇陵)의 수개 역사가 완료됨.

8월 26일

• 김노경(金魯敬)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28일

• 임금이 명릉(明陵)에 전알(展謁)하고 제사지낸 후 익릉(翼陵)과 홍릉(弘陵)에도 전알함.

9월 5일

• 성균관에서 칠석제(七夕製)를 설행함.

• 송면재(宋冕載)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9월 7일

• 인정전에서 추도기유생(秋到記儒生)을 시험하여 강경(講經)과 제술(製述)에서 수석을 차지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게 함.

9월 9일

• 성균관에서 구일제(九日製)를 설행함.

9월 24일

• 춘당대에서 서총대시사(瑞蔥臺試射)를 행함.

9월 25일

• 홍희준(洪羲俊)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9일

• 이면승(李勉昇)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16일

• 김이교(金履喬)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29일

• 성균관에서 황감제(黃柑製)를 시행하여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2월 11일

• 죄가 가벼운 죄수를 석방하고, 옷이 얇은 군사들을 휼전(恤典)함.

12월 22일

• 홍석주(洪奭周)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연관목차

1119/1457
신유년(辛酉年), 18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