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헌종 14년, 무신년(戊申年), 1848년

조선 헌종 14년, 무신년(戊申年), 1848년

1월 15일

• 한성의 각사와 각영에서 1847년 회계장부를 올림.

1월 19일

• 성균관에서 인일제(人日製)를 시행함.

2월 10일

• 과거의 폐단을 금하기 위해 주시관(主試官)을 신칙함.

2월 11일

• 김학성(金學性)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18일

• 임금이 목릉(穆陵)과 원릉(元陵)에서 작헌례(酌獻禮)를 행함.

2월 30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총위영(總衛營) 장관과 장교의 별시사(別試射)를 행함.

3월 4일

• 성균관에서 삼일제(三日製)를 설행하여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3월 7일

• 효창묘(孝昌墓)의 곡장(曲墻) 안팎에 불이 나 예조당상으로 하여금 봉심(奉審)하도록 함.

3월 22일

• 강시영(姜時永)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3월 24일

• 성균관 수선 비용으로 돈 3천 민(緡)을 내려 줌.

3월 27일

• 임금이 경모궁(景慕宮)에 전알(展謁)하고 경우궁(景祐宮)에 전배(展拜)함.

4월 9일

• 임금이 영희전(永禧殿)에 전알(展謁)하고 저경궁(儲慶宮)에 전배(展拜)함.

4월 13일

• 임금이 육상궁(毓祥宮) · 선희궁(宣禧宮) · 연호궁(延祜宮)에 전배(展拜)함.

• 《익종보감(翼宗寶鑑)》의 체재를 정함. 보감의 편수(編首)에 ‘純宗(순종) 27年 丁亥(정해)’라 쓰고 익종 아래에는 ‘代理(대리)’라고 쓰도록 함.

5월 2일

• 증광감시 복시(覆試)를 행함.

5월 16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일차유생(日次儒生) 응제(應製)를 시행하여 전(箋)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5월 26일

• 증광문과(增廣文科) 복시를 시행하여 33명을 뽑음.

5월 30일

• 춘당대에서 증광 문 · 무과 전시(殿試)를 시행하여 문과에서 43명, 무과에서 480명을 뽑음.

7월 17일

• 서좌보(徐左輔)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7월 25일

• 성균관에서 거재유생(居齋儒生) 응제(應製)를 시행함.

8월 10일

• 인정전에서 칠석제(七夕製)를 시행함.

8월 15일

• 인정전에서 한림소시(翰林召試)를 시행함.

9월 4일

• 임금이 수릉(綏陵)을 전배(展拜)하고 작헌례(酌獻禮)를 행함.

9월 9일

• 임금이 춘당대(春塘臺)서 구일제(九日製)를 행함.

10월 3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삼조(三朝)의 보감(寶鑑)을 받고, 이문원(摛文院)에서 재숙(齋宿)함.

10월 6일

• 《정종조보감(正宗朝寶鑑)》 7편 178장, 《순종조보감(純宗朝寶鑑)》 5편 110장, 《익종조보감(翼宗朝寶鑑)》 2편 37장의 삼조(三朝) 보감을 태묘에 올림.

10월 16일

• 비가 내리고 천둥이 치니 감선(減膳)하도록 함.

10월 24일

• 북영(北營)의 보감세초소(寶鑑洗草所)에 승지를 보내 선온(宣醞)을 내림.

10월 25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추도기(秋到記)을 시행하여 강(講)과 표(表)에서 수석을 차지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게 함.

10월 28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정시(庭試) 문 · 무과 전시(殿試)를 시행하여 문과에서 3명, 무과에서 218명을 뽑음.

11월 8일

• 유생 8천 명이 서류소통(庶類疏通)을 상소함.

11월 30일

• 이돈영(李敦榮)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17일

• 옷이 얇은 군사와 거지들을 휼전함.

12월 20일

• 《선원보략(璿源譜略)》 발문(跋文)을 지은 제술관들에게 상을 내림.

12월 26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감제(柑製)를 시행하여 표(表)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2월 29일

• 한성부에서 1848년 전국의 호구 수를 올림. 한성부의 인구는 20만 4,029명, 호수는 4만 5,669호.

연관목차

1141/1457
신유년(辛酉年), 1801년
병신년(丙申年), 1896년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