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철종 13년, 임술년(壬戌年), 1862년

조선 철종 13년, 임술년(壬戌年), 1862년

1월 2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종묘 춘향제의 서계를 올림.

1월 9일

• 종묘에서 춘향제를 행하고 순조와 순원왕후를 추상하는 존호(尊號)와 책보(冊寶)를 올림.

1월 13일

• 임금이 경모궁(景慕宮) 진전에 전배(展拜)하고, 경우궁 ·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의 사우에 전배(展拜)함.

1월 15일

• 신석우(申錫愚)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1일

• 춘당대에서 춘도기(春到記)를 행하여 강(講)과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2월 2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경모궁(景慕宮) 춘향제(春享祭)에 쓸 향과 축문을 전함.

2월 21일

• 성균관에서 인일제(人日製)를 행함.

3월 10일

• 춘당대 정시문과에서 5명, 훈련원 무과전시에서 422명을 뽑음.

3월 11일

• 춘당대에서 삼일제(三日製)를 행함.

3월 30일

• 임금이 육상궁(毓祥宮) · 선희궁(宣禧宮) · 연호궁(延祜宮) · 의소묘(懿昭廟) · 장보각(藏譜閣)에 전배(展拜)함.

4월 2일

• 김대근(金大根)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4월 16일

• 조석우(曺錫雨)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4월 20일

• 춘당대에서 내삼청(內三廳) 시사(試射)를 행함.

5월 26일

• 전국적 민란의 원인을 삼정문란으로 보고 삼정이정청(三政釐整廳)을 설치함.

6월 1일

• 기우제를 지냄.

6월 5일

• 임백수(任百秀)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6월 12일

• 삼정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책문을 시험하고, 전국에 구언교(求言敎)를 내림.

7월 1일

• 춘당대에서 칠석제(七夕製)를 행함.

7월 3일

• 춘당대에서 추도기(秋到記)를 행하여 강(講)과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7월 8일

• 사대문에서 영제(禜祭)를 거행함.

7월 28일

• 남병길(南秉吉)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12일

• 춘당대(春塘臺)와 훈련원에서 경과 회시를 시행하여 문과 3명, 무과 238명을 뽑음.

8월 20일

• 임금이 종묘에 전알(展謁)하고, 경모궁(景慕宮)에 전배(展拜)함.

윤8월 7일

• 춘당대에서 구일제(九日製)를 행함.

윤8월 12일

• 춘당대에서 경과 문 · 무과 회시(會試)를 행하여 문과에서 3명, 무과에서 238명을 뽑음.

윤8월 19일

• 삼정이정청(三政釐整廳)을 폐지함.

9월 1일

• 춘당대에서 문신에게 제술(製述)을 행함.

9월 12일

• 이경순(李景純)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9월 18일

• 인릉(仁陵)과 헌릉(獻陵)에 전알(展謁)하고 남성행궁(南城行宮)으로 나아감.

9월 24일

• 춘당대에서 서총대과(瑞蔥臺科)를 행함.

10월 1일

• 조연창(趙然昌)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2일

• 임금이 창덕궁 인정전(仁政殿)에서 종묘 동향제(冬享祭)에 쓸 향과 축문을 전함.

10월 12일

• 창덕궁 신우문(神祐門)에 화재가 발생함.

11월 3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경모궁(景慕宮) 동향제(冬享祭)에 쓸 향과 축문을 전함.

11월 10일

• 김병학(金炳學)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28일

• 신석희(申錫禧)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5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종묘 · 사직 · 영희전(永禧殿) · 경모궁(景慕宮)의 납향제(臘享祭)에 쓸 향과 축문을 전함.

연관목차

1155/1457
병신년(丙申年), 1896년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 정치 경제
정유년(丁酉年), 1897년
신축년(辛丑年), 1901년
병오년(丙午年), 19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