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고종 17년, 경진년(庚辰年), 1880년

조선 고종 17년, 경진년(庚辰年), 1880년

1월 27일

• 춘추관(春秋館)과 네 사고(史庫)의 실록을 포쇄함.

1월 30일

• 한성의 각 관청과 각 군영에서 1879년 겨울철 3개월의 회계장부를 올림.

2월 15일

• 준천사와 한성부로 하여금 고종 2년(1865)의 예에 따라 하천을 준설하도록 함.

2월 20일

• 윤병정(尹秉鼎)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25일

• 임응준(任應準)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 이회정(李會正)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4월 15일

• 한성의 각사와 각영에서 봄철 3개월간의 회계장부를 올림.

4월 17일

• 왕이 종묘와 경모궁(景慕宮)에 참배한 후 돈화문 밖에서 공시인(貢市人)들의 폐단을 들음.

4월 24일

• 윤자승(尹滋承)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4월 29일

• 춘당대(春塘臺)에서 한림소시(翰林召試)를 시행하여 김정균(金定均) 등 4명을 뽑음.

5월 5일

• 김세호(金世鎬)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5월 19일

• 춘당대(春塘臺)에서 문 · 무과 정시(庭試)를 시행하여 문과 5명, 무과 658명 뽑음.

5월 25일

• 조영하(趙寧夏)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5월 28일

• 수신사 김홍집(金弘集) 일행이 한성을 출발함.

6월 8일

• 남연순(南延順)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6월 24일

• 춘당대(春塘臺)에서 증광별시(增廣別試)와 전시(殿試)를 시행하여 문과 69명, 무과 414명을 뽑음.

6월 28일

• 민겸호(閔謙鎬)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이달

• 안동별궁(安洞別宮)의 경연당(慶衍堂) · 정화당(正和堂) · 현광루(顯光樓)의 상량문 제술관과 현판 서사관(書寫官), 정상루(定祥樓)의 현판 서사관이 각각 임명됨.

7월 1일

• 민치상(閔致庠)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7월 15일

• 한성의 각사와 각영에서 여름철 3개월간의 회계장부를 올림.

8월 5일

• 이호준(李鎬俊)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24일

• 심순택(沈舜澤)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9월 8일

• 수신사로 일본에 갔다 온 김홍집(金弘集)이 청나라 황준헌(黃遵憲)이 지은 《조선책략(朝鮮策略)》을 고종에게 올림.

9월 20일

• 춘당대(春塘臺)에서 알성시를 시행하여 문과 7명, 무과 295명을 뽑음.

9월 21일

• 안동별궁의 영건도감 제조와 관리들을 시상함.

9월 22일

• 한치원(韓致源)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15일

• 한성의 각사와 각영에서 가을철 3개월간의 회계장부를 올림.

10월 29일

• 춘당대(春塘臺)에서 정시문 · 무과(庭試文武科)를 시행하여 문과 3명, 무과 471명을 뽑음.

11월 24일

• 윤병정(尹秉鼎)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26일

• 조선국주차판리공사(朝鮮國駐箚辦理公使) 하나부사 요시타다(花房義質)가 일본 해군 의장대의 호위를 받고 돈화문까지 행진하여 창덕궁 내 중희당(重熙堂)에서 고종을 알현하고 신임장인 국서를 바침.

12월 20일

• 삼군부(三軍府)를 폐지하고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설치함.

12월 26일

• 김재현(金在顯)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30일

• 한성부에서 1880년 전국과 한성 오부의 호구수를 보고함. 한성부 인구 18만 8,953명(남자 9만 2,756명, 여자 9만 6,197명), 호수 4만 4,263명.

• 태복시(太僕寺)에서 각도 목장의 마축수(馬畜數)가 5,338필이라고 보고함.

연관목차

1173/1457
병신년(丙申年), 1896년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 정치 경제
정유년(丁酉年), 1897년
신축년(辛丑年), 1901년
병오년(丙午年), 1906년
신해년(辛亥年), 1911년
병진년(丙辰年), 1916년
신유년(辛酉年), 19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