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헌종 13년, 정미년(丁未年), 1847년

조선 헌종 13년, 정미년(丁未年), 1847년

1월 1일

• 공인(貢人)의 3천 석과 시민(市民)의 한 달 요역을 탕감함.

1월 7일

• 임금이 인정전의 월대에서 종묘와 영녕전의 춘향향축(春享香祝)을 전하고 휘정전(徽定殿)에 재숙(齋宿)함.

1월 11일

• 이가우(李嘉愚)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15일

• 한성의 각사와 각영에서 1846년 회계장부를 올림.

1월 22일

• 춘당대에서 인일제(人日製)를 시행하여 표(表)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2월 1일

• 정묘(正廟) · 순묘(純廟) · 익묘(翼廟) 삼조(三朝)의 보감(寶鑑)을 찬집하도록 함.

2월 3일

• 임금의 행행(幸行) 때 시위 복색을 군복으로 통일함.

2월 5일

• 문형회권(文衡會圈)을 행하여 조병현(趙秉鉉)을 대제학으로 삼음.

2월 12일

• 임금이 경우궁(景祐宮)에 작헌례(酌獻禮)를 행함.

2월 13일

• 성수묵(成遂黙)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15일

• 춘도기(春到記)를 설행하여 강(講)과 제술(製述)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2월 21일

• 임금이 파주목 행궁으로 행차함.

2월 22일

• 인릉(仁陵)에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장릉(章陵)에 전배(展拜)한 후 파주행궁에 머뭄.

2월 23일

• 임금이 환궁함.

2월 25일

• 춘당대에서 정시무과 회시(會試)를 행함.

3월 8일

• 김영순(金英淳)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3월 15일

• 임금이 탕춘대(蕩春臺)에서 서총대시사(瑞蔥臺試射)를 행함.

3월 22일

• 성균관에서 삼일제(三日製)를 시행함.

3월 28일

• 임금이 이문원(摛文院)에 재숙(齋宿)함.

4월 12일

• 임금이 영희전(永禧殿)에 전알(展謁)하고 저경궁(儲慶宮)에 전배(展拜)함.

4월 13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서북별부료(西北別付料) 시사(試射)와 서총대시사(瑞蔥臺試射)를 행하고 상을 내림.

4월 24일

• 임금이 육상궁(毓祥宮) · 선희궁(宣禧宮) · 연호궁(延祜宮)에 전배(展拜)함.

4월 30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문신제술(文臣製述)과 선전관시강(宣傳官試講)을 행함.

5월 25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한학문신(漢學文臣)과 일차유생(日次儒生)의 전강(殿講)을 행함.

6월 24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일차유생(日次儒生)의 전강(殿講)과 도정(都政)을 행함.

6월 25일

• 희정당에서 일차유생(日次儒生) 전강(殿講)의 비교를 행하고 배율(排律)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6월 29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전경(專經) 문 · 무신의 전강(殿講)을 행함.

7월 11일

• 임금이 태묘와 경모궁(景慕宮)에 전배(展拜)함. 환궁하는 길에 총위영(總衛營)에서 일내금군(一內禁軍)의 시사(試射)를 행함.

7월 25일

• 도당회권(都堂會圈)을 행하여 10명을 뽑음.

8월 10일

• 시흥현에 홍수 피해가 나서 진휼하도록 함.

8월 11일

• 광주부의 홍수 피해 가구를 구휼함.

9월 10일

• 임금이 수릉(綏陵)과 휘경원(徽慶園)에 전알(展謁)하고 작헌례(酌獻禮)를 행함.

10월 3일

• 김동건(金東健)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4일

• 성균관에서 구일제(九日製)를 시행함.

10월 6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추도기(秋到記)를 행하여 강경(講經)과 제술(製述)에서 수석을 차지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게 함.

10월 24일

• 이헌구(李憲球)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29일

• 임금이 춘당대에 나아가 황감제(黃柑製)를 시행하여 표(表)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2월 24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한학문신(漢學文臣) 전강(殿講)과 한림소시(翰林召試)를 행함.

12월 30일

• 한성부에서 1847년 전국의 호구 수를 올림. 한성 오부와 팔도의 원호는 158만 7,181호, 인구는 674만 4,656명임.

연관목차

1140/1457
신유년(辛酉年), 1801년
병신년(丙申年), 189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