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헌종 10년, 갑진년(甲辰年), 1844년

조선 헌종 10년, 갑진년(甲辰年), 1844년

1월 1일

• 봉조하(奉朝賀) 김이양(金履陽)이 90세가 되어 궤장(几杖)을 하사하도록 함.

1월 15일

• 한성의 각사와 각영에서 1843년 회계장부를 올림.

1월 27일

• 성균관에서 인일제(人日製)를 시행함.

2월 4일

• 임금이 종묘와 경모궁(景慕宮)에 전배(展拜)함.

2월 15일

• 서좌보(徐左輔)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21일

• 모화관에서 청의 사신을 맞이함.

2월 24일

• 청의 사신이 돌아가니 모화관에서 전송함.

2월 25일

• 한성부의 금례(禁隷)가 북한(北漢)의 영속(營屬)에 구타당한 사건이 발생함.

3월 5일

• 과거시험에서 초장(初場)의 거자(擧子)가 서로 싸워 시관(試官)을 파직함.

3월 6일

• 임금이 경우궁(景祐宮)에 전배(展拜)함.

3월 7일

• 임금이 춘당대(春塘臺)에서 삼일제(三日製)를 시행함.

3월 11일

• 임금이 영희전(永禧殿)에 전알(展謁)하고, 육상궁(毓祥宮) · 선희궁(宣禧宮) · 연호궁(延祜宮) · 저경궁(儲慶宮)에 전배(展拜)함.

3월 17일

• 홍경모(洪敬謨)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3월 27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춘도기유생(春到記儒生)을 시험하여 강(講)과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4월 10일

• 증광무과 복시(覆試)를 설행함.

4월 12일

• 증광문과 복시(覆試)를 설행하여 33명을 뽑음.

4월 16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한학문신(漢學文臣)과 일차유생(日次儒生)의 전강(殿講)을 설행함.

4월 17일

• 일차유생(日次儒生)의 전강(殿講)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4월 19일

• 이목연(李穆淵)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4월 20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증광 문 · 무과 전시(殿試)를 시행하여 문과에서 39명, 무과에서 300명을 뽑음.

4월 28일

• 과거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민달용(閔達鏞)을 노비로 삼음.

5월 15일

• 서좌보(徐左輔)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6월 21일

• 이가우(李嘉愚)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6월 28일

• 비변사에서 각도의 보미변통절목(保米變通節目)을 수정하여 올림.

8월 19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추도기유생(秋到記儒生)을 시험하여 강(講)과 제술(製述)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8월 28일

• 임금이 원릉(元陵)과 경릉(景陵)에 나아가 제사지냄.

9월 6일

• 임금이 경희궁으로 거처를 옮김.

9월 12일

• 임금이 숭정전(崇政殿)에서 구일제(九日製)를 행함.

9월 14일

• 조병구(趙秉龜)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9월 29일

• 임금이 휘정전(徽定殿)에서 재숙(齋宿)함.

10월 18일

• 홍재룡(洪在龍)의 딸을 왕비로 책봉함(정휘왕후 홍씨).

10월 24일

• 김흥근(金興根)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29일

• 임금이 종묘와 경모궁(景慕宮)에 전배(展拜)함.

11월 24일

• 임금이 숭정전(崇政殿)에서 감제(柑製)를 시행하여 부(賦)에서 수석한 자와 차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2월 10일

• 이헌구(李憲球)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11일

• 비변사에서 정시(庭試) 초시를 경외(京外)에서 나누어 시취(試取)하는 절목(節目)을 올림.

12월 18일

• 임금이 숭정전(崇政殿)에서 일차유생(日次儒生)의 전강(殿講)을 행함.

• 《선원보첩속(璿源譜牒續)》을 완성함.

12월 19일

• 일차유생(日次儒生)의 전강(殿講)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2월 30일

• 한성부에서 1844년 전국의 호구 수를 올림. 한성 오부와 팔도의 원호는 158만 2,673호, 인구는 671만 9,648명임.

이해

• 작자 미상의 《한양가(漢陽歌)》가 간행됨.

연관목차

1137/1457
신유년(辛酉年), 18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