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헌종 7년, 신축년(辛丑年), 1841년

조선 헌종 7년, 신축년(辛丑年), 1841년

1월 10일

• 송계간(宋啓幹)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 임금이 모든 정사를 결재하기 시작함.

1월 12일

• 이약우(李若愚)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13일

• 대왕대비의 존호를 광성(光聖)으로 올림.

1월 15일

• 한성의 각사와 각영에서 1840년 회계장부를 올림.

1월 18일

• 유화원(柳和源)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22일

• 성균관에서 인일제(人日製)를 시행함.

2월 10일

• 청백리의 선록(選錄)을 만듦.

2월 20일

• 이헌구(李憲球)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2월 29일

• 임금이 종묘와 경모궁(景慕宮)에 전배(展拜)함.

3월 9일

• 면자전(綿子廛)의 화재로 구휼을 베풂.

3월 10일

• 임금이 영희전(永禧殿)에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저경궁(儲慶宮)에 전배(展拜)함.

3월 12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춘도기유생(春到記儒生)을 시험하여 강경(講經)과 제술(製述)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3월 27일

• 임금이 육상궁(毓祥宮) · 선희궁(宣禧宮) · 연호궁(延祜宮)에 전배(展拜)함.

윤3월 4일

• 임금이 원릉(元陵)에 제사하고, 수릉(綏陵)에 전알(展謁)함.

윤3월 13일

• 임금이 춘당대(春塘臺)에서 경과 정시를 시행하여 문과 19명, 무과 218명을 뽑음.

윤3월 15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인일제(人日製)를 시행함.

윤3월 22일

• 임금이 춘당대(春塘臺)에서 서총대시사(瑞蔥臺試射)를 설행함.

윤3월 30일

• 이광정(李光正)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4월 1일

• 임금이 이문원(離文院)에 재숙(齋宿)함.

4월 20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전경문신(專經文臣)과 전경무신(專經武臣)의 전강(殿講)을 설행함.

4월 26일

• 이약우(李若愚)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이달

• 《동문휘고(同文彙考)》를 간행함.

5월 3일

• 순릉(純陵, 순조)의 능 위를 수개(修改)함.

7월 23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한학문신(漢學文臣) 전강(殿講)을 행함.

8월 5일

• 이헌위(李憲瑋)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14일

• 이광정(李光正)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15일

• 임금이 명릉(明陵)에 제사하고, 익릉(翼陵)과 홍릉(弘陵)에 전알(展謁)함.

8월 30일

• 군기(軍器)를 훔쳐 돈을 주조한 박중도(朴仲道) 등을 처형함.

9월 3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추도기유생(秋到記儒生)을 시험하여 강경(講經)과 제술(製述)에서 수석을 차지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게 함.

9월 9일

• 성균관에서 구일제(九日製)를 시행함.

10월 11일

• 인정전에서 전경문신(專經文臣)의 전강(殿講)을 설행함.

10월 18일

• 인정전에서 한학문신(漢學文臣)과 전경무신(專經武臣)의 전강(殿講)을 설행함.

11월 17일

• 인정전에서 한림소시(翰林召試)를 행함.

12월 18일

• 성균관에서 감제(柑製)를 시행하여 표(表)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2월 25일

• 이헌구(李憲球)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29일

• 한성부에서 1841년 전국의 호구 수를 올림. 한성 오부와 팔도의 원호는 156만 8,176호, 인구는 662만 5,953명임.

연관목차

1134/1457
신유년(辛酉年), 18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