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철종 7년, 병진년(丙辰年), 1856년

조선 철종 7년, 병진년(丙辰年), 1856년

1월 13일

• 임금이 종묘와 경모궁(景慕宮)에 전배(展拜)함.

1월 15일

• 서유훈(徐有薰)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17일

• 임금이 경우궁(景祐宮)과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사우에 전배(展拜)함.

1월 24일

• 서헌순(徐憲淳)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월 26일

• 성균관에서 인일제(人日製)를 행하여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월 30일

• 서유훈(徐有薰)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 춘당대에서 춘도기(春到記)를 행하여 강(講)과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2월 6일

• 임금이 저경궁(儲慶宮)에 전배함.

2월 20일

• 임금이 헌릉(獻陵)에 나아가 제사하고 과천 행궁에 유숙함. 21일 환궁함.

2월 22일

• 임금이 인릉(仁陵)을 헌릉의 오른쪽 언덕으로 천봉(遷奉)하라고 함.

2월 28일

• 춘당대에 나아가 삼일제(三日製)를 행함.

3월 2일

• 윤치정(尹致定)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3월 4일

• 인릉(仁陵)과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묘소를 옮기는데 드는 비용으로 내수사(內需司)의 돈 10만 냥을 도감(都監)에 줌.

4월 4일

• 춘당대(春塘臺)에서 문 · 무과 전시(殿試)를 행하여 문과 3명, 무과 21명을 뽑음.

4월 6일

• 조선교회 창설자인 이승훈(李承薰)의 죄를 신원(伸寃)함.

4월 11일

• 임금이 광릉(光陵)에 전배(展拜)한 후 전계대원군의 묘소에 나아가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유숙함.

4월 12일

• 임금이 환궁함.

4월 16일

• 춘당대(春塘臺)에서 문 · 무과 중시를 행하여 문과 5명, 무과 84명을 뽑음.

4월 23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서총대과(瑞蔥臺科)를 행함.

4월 28일

• 정최조(鄭imagefont朝)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5월 10일

• 춘당대에서 참반(參班) 유생과 무사에게 응제(應製)와 시사(試射)를 행하여 6명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5월 13일

• 《통문관지(通文館志)》 속편이 완성됨.

5월 15일

• 춘당대에서 유생의 응제(應製)를 행하여 3명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5월 22일

• 첫 번째 기우제를 지냄.

5월 25일

• 두 번째 기우제를 지냄. 28일에도 기우제를 지냄.

6월 6일

• 김보근(金輔根)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6월 21일

• 죄가 가벼운 죄수를 석방하도록 함.

6월 25일

• 춘당대에서 유생의 응제(應製)를 행하여 3명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6월 28일

• 훈련원(訓鍊院)에서 무과를 시행하여 14명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7월 2일

• 정기세(鄭基世)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7월 18일

• 이경재(李景在)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7월 27일

• 임금이 종묘와 경모궁(景慕宮)에 전배(展拜)함.

8월 25일

• 임금이 인릉(仁陵)의 표석에 음기(陰記)를 친히 쓴다고 명함.

9월 6일

• 조병준(趙秉駿)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11일

• 인릉(仁陵)을 현재 강남구 내곡동의 헌릉(獻陵) 오른쪽으로 이장함.

10월 15일

• 인릉의 천릉역사를 마치고 돌아온 도감당상(都監堂上)을 불러봄.

10월 24일

• 조득림(趙得林)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7일

• 서유훈(徐有薰)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1일

• 《선원보략(璿源譜略)》의 수정이 완료됨.

12월 14일

• 춘당대에서 감제(柑製)를 시행하여 표(表)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2월 27일

• 김병기(金炳冀)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30일

• 성원묵(成原黙)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연관목차

1149/1457
병신년(丙申年), 1896년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 정치 경제
정유년(丁酉年), 1897년
신축년(辛丑年), 19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