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헌종 12년, 병오년(丙午年), 1846년

조선 헌종 12년, 병오년(丙午年), 1846년

1월 5일

• 임금이 사직단에서 기곡대제(祈穀大祭)를 행함.

1월 9일

• 임금이 종묘와 경모궁(景慕宮)에 전배(展拜)함.

1월 15일

• 한성의 각사와 각영에서 1845년 회계장부를 올림.

1월 17일

• 소란을 일으킨 무예별감을 처벌함.

1월 20일

• 임금이 영희전(永禧殿)에 전알(展謁)하고 휘정전(徽定殿)에 전배(展拜)함.

1월 26일

• 임금이 경우궁(景祐宮)에 전배함.

2월 12일

• 임금이 인정전에서 선농단(先農壇) 절제(節祭)에 쓸 향과 축문을 전함.

2월 13일

• 임금이 수릉(綏陵)에 전알(展謁)함.

2월 20일

• 임금이 화성(華城)으로 행차함.

2월 21일

• 임금이 건릉(健陵)과 현륭원(顯隆園)에 전알하고 제사지냄.

2월 23일

• 임금이 화성 행궁을 떠나 환궁함.

2월 25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문 · 무과 정시별시(庭試別試)를 행하여 문과에서 7명, 무과에서 223명을 뽑음.

2월 28일

• 성균관에서 인일제(人日製)를 시행함.

3월 2일

• 수릉(綏陵)을 옮기는 지역을 용마봉(龍馬峰) 아래로 정하고, 봉표(封標)하도록 함.

3월 7일

• 배봉목장(拜峰牧場)이 수릉(綏陵)의 국내(局內)에 해당되어 혁파하도록 함.

3월 13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문 · 무과 중시(重試)를 행하여 문과에서 3명, 무과에서 24명을 뽑음.

3월 15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식년 문 · 무과 전시(殿試)와 삼일제(三日製)를 행하여 문과에서 38명, 무과에서 143명을 뽑음.

3월 17일

• 임금이 춘당대(春塘臺)에서 서북별부료(西北別付料) 시사(試射)를 행함.

3월 18일

• 이유수(李惟秀)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4월 1일

• 임금이 이문원(摛文院)에 재숙(齋宿)함.

4월 18일

• 임금이 수릉(綏陵)에 전알(展謁)하고, 구릉(舊陵)을 연 다음 복(服)을 입고 제사지냄.

4월 26일

• 김동건(金東健)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5월 6일

• 임금이 수릉(綏陵)에 기신제(忌辰祭)를 지내고 의릉(懿陵)에 친제(親祭)함.

6월 12일

• 비가 두 달에 걸쳐 내려 기청제(祈晴祭)를 지내도록 함.

6월 15일

• 이가우(李嘉愚)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6월 18일

• 감강청(鑑講廳)에 불이 남.

7월 5일

• 임금이 춘당대(春塘臺)에서 상시사(賞試射)를 행함.

7월 11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칠석제(七夕製)를 행하고 부(賦)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7월 25일

• 김대건(金大建) 신부를 효수함.

7월 26일

• 윤상규(尹尙圭)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7월 27일

• 임금이 춘당대(春塘臺)에서 상시사(賞試射)를 행함.

7월 29일

• 사학죄인(邪學罪人, 천주교인) 현석문(玄錫文)을 효수함.

8월 1일

• 서희순(徐憙淳)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2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추도기유생(秋到記儒生)을 시험하여 강경(講經)과 제술(製述)에서 수석을 차지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게 함.

8월 5일

• 총융청(摠戎廳)을 총위영(總衛營)으로 고치고 숙위(宿衛)를 강화함.

8월 16일

• 임금이 수릉(綏陵)에 전배(展拜)하고, 작헌례(酌獻禮)를 행함.

9월 6일

• 임금이 저경궁(儲慶宮)과 육상궁(毓祥宮)에 전배함.

9월 9일

• 홍수로 한성부의 무너진 민가 3,900호에 선전관을 파견하여 휼전을 행함.

9월 12일

• 임금이 남묘(南廟)에 나아가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모화관에서 수가(隨駕)한 군병들에게 시사(試射)를 행함.

9월 20일

• 윤상규(尹尙圭)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9월 25일

• 서기순(徐箕淳)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9월 27일

• 성균관에서 구일제(九日製)를 시행함.

10월 13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전경문신(專經文臣)과 전경무신(專經武臣)의 전강(殿講)을 행함.

10월 17일

• 임금이 금천교(禁川橋)에 나아가 풍은부원군(豐恩府院君, 조만영)의 성복(成服)에 망곡(望哭)을 행함.

10월 20일

• 조관(朝官)의 백포(白袍) 착용을 금지함.

10월 22일

• 임금이 춘당대에 나아가 방물(方物)을 살피고, 한학문신(漢學文臣)과 일차유생(日次儒生)의 전강(殿講)을 설행함.

10월 28일

• 비가 내리고 천둥이 쳐 감선(減膳)하도록 함.

11월 5일

• 홍재철(洪在喆)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6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문신 이문제술(吏文製述)을 행함.

11월 11일

• 이가우(李嘉愚)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20일

• 박기수(朴綺壽)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17일

• 춘당대에서 감제(柑製)를 시행하여 표(表)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12월 20일

• 임금이 춘당대에서 일차유생(日次儒生)의 전강(殿講)을 설행함.

12월 21일

• 일차유생(日次儒生)의 전강(殿講)에서 수석한 자에게 직부전시(直赴殿試)하도록 함.

• 향과 축문을 받은 헌관이 교자(轎子)타는 것을 금지함.

12월 29일

• 한성부에서 1846년 전국의 호구 수를 올림. 한성 오부와 팔도의 원호는 158만 1,594호, 인구는 674만 3,862명임.

이해

• 낙선재(樂善齋)를 건립함.

연관목차

1139/1457
신유년(辛酉年), 1801년
병신년(丙申年), 189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