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융희 4년, 경술년(庚戌年), 1910년

대한제국 융희 4년, 경술년(庚戌年), 1910년

1월 1일

• 동아연초공장(東亞烟草工場) 완공.

1월 7일

• 한성 내 6곳의 과일상인 100여 명이 경성과상조합(京城果商組合) 발기총회를 개최함.

1월 9일

• 일본군사령부, 이토오 히로부미(伊藤博文) 암살사건과 관련하여 안창호(安昌浩)를 다시 체포함.

1월 26일

• 경성감옥에서 의병장 정용대(鄭用大)의 교수형이 집행됨.

이달

• 서정태(徐廷泰) · 서정찬(徐廷贊) · 유명희(兪命熙) 등의 발기로 한성권연초직공총합소(漢城卷煙草職工總合所)를 조직함.

• 경성과상조합(京城果商組合), 과일상인들에게 새로운 말[斗] · 되[升]를 사용하고 지금까지의 말 · 되는 모두 폐지하게 함.

2월 20일

• 한성상업회의소, 분쟁 중인 한성과상조합(漢城果商組合)과 경성과상조합(京城果商組合)을 폐지하여 단일 조합으로 하기로 결정함.

이달

• 국민경제회(國民經濟會), 혜천관(惠泉館)에서 발기인회를 개최함.

• 마포와 용산 주민들, 일본인이 마포에 선교(船橋)를 설치함에 따른 토지소유권 침해와 항로 폐쇄를 막기 위하여 선교 설치 허가를 취소할 것을 청원함.

3월 5일

• 한성부 청사를 중서(中署) 징청방(澄淸坊) 중추원 건물로 옮김.

3월 7일

• 관세국(關稅局) 남대문출장소를 인천세관 관할로 바꾸고 인천세관 남대문출장소로 개칭함을 발포함.

• 경성감옥에서 의병장 김영준(金永俊)의 교수형이 집행됨.

3월 23일

• 경성감옥에서 의병장 이교영(李敎永)의 교수형이 집행됨.

이달

• 유성준(兪星濬) 등 10여 명이 광주 · 송파 등지에 운수회사(運輸會社)를 설립함.

4월 20일

• 경성감옥에서 의병장 조운식(趙雲植)의 교수형이 집행됨.

4월 30일

• 한국은행 한성출장소 폐쇄.

이달

• 중부(中部) 전동(典洞)에 거주하는 박경천(朴景千) · 박두천(朴斗千)이 양경상회(洋鏡商會)를 설립, 신식 안경을 제조하여 서양에 수출하기 위해 서양인과 계약을 맺음.

5월 1일

• 민영린(閔泳璘) · 이기동(李基東) · 남상철(南相哲) 등이 조직한 진보당(進步黨)의 창립총회 개최.

5월 4일

• 통감부, 일본제국대학(日本帝國大學)의 요청으로 국내의 귀중본 1,500책(冊)을 일본에 수송함.

5월 5일

• 순종, 동적전(東籍田)에서 친경식(親耕式)을 거행함.

5월 15일

• 한성 · 용산에 거류하는 일본인 금물상(金物商) 등이 상품가격을 통일하기 위하여 조합을 조직함.

5월 18일

• 한성지방재판소, 1909년 12월 22일 이완용(李完用)에게 자상(刺傷)을 입혔던 이재명(李在明)에게 교수형을 선고함.

5월 25일

• 마포선교(麻浦船橋) 준공.

5월 28일

• 남산의 새 공원 건설공사 준공.

5월 30일

• 한국 통감(統監)에 일본 육군대신 데라우찌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임명됨.

이달

• 정부, 전국에 금융조합 30개소를 증설하기로 결정함. 증설 대상 : 한성 · 평양 · 공주 · 원산 · 전주에 각 4개소씩, 광주 · 대구에 각 5개소씩.

6월 20일

• 한성부 내의 경찰서를 경무총감부 직할로 하여 남 · 북 양서(兩署)와 용산 및 동현경찰서, 동대문 · 수문동 · 서대문경찰서 등의 4분서(四分署)와 76개소의 파출소 · 주재소를 설치함.

6월 25일

• 순종황후, 친잠실(親蠶室)에서 수견식(收繭式)을 거행함.

이달

• 덕수궁 석조전(石造殿) 준공.

7월 2일

• 행정구역 개편으로 한성부 구역은 46개 방(坊), 1,199개 동(洞)으로 됨.

7월 5일

• 일본의 용산거류민단을 경성거류민단에 합병.

7월 18일

• 경성감옥에서 의병장 맹달섭(孟達燮)의 교수형이 집행됨.

7월 23일

• 통감에 임명된 데라우찌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서울에 옴.

이달

• 유길준(兪吉濬) 외 5명의 실업인이 한성 내의 염직회사(染織會社)를 설립함.

• 용산경찰분서(龍山警察分署)를 용산경찰서로 승격.

8월 5일

• 창덕궁 내에 황궁경찰서(皇宮警察署)를 설치. 창덕궁과 덕수궁 지역 치안 담당.

• 서대문경찰서, 죽첨정1정목(竹添町1丁目) 원래의 포병주둔소(砲兵駐屯所)를 임시 청사로 사용하고 업무를 개시함.

8월 10일

• 본정7정목(本町7丁目) · 성균관 · 삼판(三坂) · 죽원정(竹園町) · 훈련원(訓鍊院)에 순사파출소를 설치함을 고시함.

8월 16일

• 데라우찌 마사다케(寺內正毅), 이완용(李完用)에게 한일병합에 관한 각서(覺書)를 교부함.

• 이완용(李完用), 국호를 ‘조선’으로 고치고, 순종은 ‘창덕궁이왕전하(昌德宮李王殿下)’로 고종은 ‘덕수궁태왕전하(德壽宮太王殿下)’로 칭하여 줄 것을 데라우찌 마사다케(寺內正毅)에게 요청함.

8월 21일

• 데라우찌 마사다케(寺內正毅), 윤덕영(尹德榮)에게 한일병합에 동의하도록 순종을 설복시킬 것을 강요함.

• 순종, 이완용(李完用)이 한일합방을 제의하자 그에 동의함.

8월 22일

• 어전회의(御前會議)에서 <한일병합조약안>을 가결함.

• 데라우찌 마사다케(寺內正毅)와 이완용(李完用)이 <한일합방조약>을 체결함.

8월 24일

• 최승환(崔昇煥) 외 4명이 한성부 안에 설립한 한국우피합명회사(韓國牛皮合名會社)를 인가함.

8월 25일

• 통감부, 한국인에 대한 집회 금지와 일진회(一進會) 등 12개 정치단체에 1주일 내 해산할 것을 명령하고, 모든 신문도 폐간함.

8월 26일

• 통감 데라우찌 마사다케(寺內正毅), 한국 거류 각국 영사(領事)에게 일본의 한국병합을 8월 25일자로 통고함.

• 통감부 부통감(副統監) 야마가다(山縣伊三郞), 신문기자들에게 한국 강점을 공포하고, 이완용(李完用) 등에게 한일합방 공훈 훈장을 수여함.

8월 28일

• 흥왕(興王) 희(熹)의 책봉식(冊封式) 거행.

• 일본정부,을 공포하고, 한국병합에 관한 선언을 발표함. 일본천황은 한일합병에 관한 조서를 발포함.

• 박세화(朴世和), 한일합병에 분개하여 자결함.

8월 29일

• 순종, 양위(讓位) 조서를 내림.

• 한국 국호가 ‘한국’에서 ‘조선’으로 개칭됨.

• 조선총독부 설치.

• 오후 4시에 한성 · 종로 등 전국 감옥에서 기 · 미결수 737명이 사면 석방됨.

이달

• 저동(苧洞)에 농상공부 청사 건축공사를 준공함.

• 북부경찰서 수문동분서(水門洞分署)를 발족함. 종로경찰서 전신.

9월 30일

• ‘조선총독부 설치’와 ‘한국을 조선으로 개칭’하는 등 주요 제도를 공포함. 10월 1일자로 시행.

이달

• 북부경찰서가 신축되어 낙성식을 마치고 이전하였으나 청사가 협소하여 다시 종로2정목의 일한와사전기(日韓瓦斯電氣)(주)의 벽돌 건물을 임대하여 사용하기로 함.

10월 1일

• 초대 총독(總督)에 데라우찌 마사다케(寺內正毅), 정무총감에 야마가다(山縣伊三郞)가 임명됨.

• 경성부를 설치하고 종래 한성부 일원을 그 관할 구역으로 정함(<조선총독부령> 제7호).

• 경성부윤에 오오바 간이치(大庭寬一)를 임명함.

• 프랑스공관을 합동(蛤洞) 30번지로 옮김.

• 조선총독부, 한국에 대한 총독정치 개시를 선포하는 <조선총독부 관보> 1호를 발간함.

• 이재명(李在明), 이완용(李完用) 저격사건으로 사형됨.

10월 4일

• 대한제국 내각, 해산식을 거행함.

10월 7일

• 조선총독부, 조선 귀족 76명에게 합방공로작(合邦功勞爵)을 수여함. 후작(侯爵) 6명, 백작(伯爵) 3명, 자작(子爵) 22명, 남작(男爵) 45명.

10월 12일

• 경성헌병대사령부, 전국의 헌병대를 관할함.

12월 7일

• 경기도 시흥군의 위치를 영등포로 변경함.

이해

• 경복궁 · 경희궁 전각 100여 칸이 일본인에 의하여 헐림.

• 남대문~남대문역간 가로를 건설함.

• 일본상인 하타(羽田)가 마포~여의도, 여의도~영등포를 잇는 한강에 사설 배다리를 설치, 도강료를 받음.

연관목차

1209/1457
병신년(丙申年), 1896년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 정치 경제
정유년(丁酉年), 1897년
신축년(辛丑年), 1901년
병오년(丙午年), 1906년
신해년(辛亥年), 1911년
병진년(丙辰年), 1916년
신유년(辛酉年), 1921년
병인년(丙寅年), 1926년
신미년(辛未年), 1931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신사년(辛巳年), 1941년
병술년(丙戌年), 1946년
신묘년(辛卯年), 195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