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축년(乙丑年), 1925년

을축년(乙丑年), 1925년

2월 25일

• 국제운송 경성지점, 경성역(京城驛) 세관 구내에서 사설 보세창고 영업을 개시함.

4월 18일

• 경성부 청사 신축 공사장 일본인 석공(石工) 18명이 중국인 석공 취업 제한과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동맹 파업함.

4월 27일

• 종로2정목에서 경성무산청년회(京城無産靑年會) 창립총회를 개최함.

5월 24일

• 종로2가~3가 구간의 야시(夜市)가 남대문로 야마구찌은행(山口銀行) 경성지점 앞까지 연장됨.

이달

• 충정로 공설시탄소채시장(公設柴炭蔬菜市場)을 폐지함.

6월 11일

• 한강변의 마포와 구용산에 방수설비(防水設備) 공사를 실시함.

6월 15일

• 경성부윤에 우마노(馬野精一) 임명.

6월 26일

• 경성부, 경성부청 앞과 본정5정목 · 종로2정목 · 종로4정목 · 서대문우편국 앞 · 용산출장소 등 6곳에 야간금고(夜間金庫)를 설치하여 세금 수납업무를 취급함.

• 중구 쌍림동 35-2번지 일대에 사설 병목시장(並木市場)을 설립함.

이달

• 현저동(峴底洞)에 서대문공설시탄소채시장(西大門公設柴炭蔬菜市場)을 설립함.

• 충무로2가에 혼마치(本町)빌딩을 준공함.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국내 최초로 빌딩이라는 명칭 사용.

7월 25일

• 한국인 노동자 100여 명이 용산경찰서에 쇄도하여 임금지불 중재를 요구함.

8월 6일

• 경성 부근 10개 단체 60여 명이 한양청년연맹을 조직함.

9월 1일

• 경성부, 광희문 밖 한지면(漢芝面) 수도배수지 뒷산 관유지 9만 평을 새로운 공동묘지 부지로 선정, 총독부에 허가를 신청함.

9월 5일

• 남미창정(南米倉町)에 환경시장(丸京市場)을 설립함.

9월 8일

• 신용산방수제(新龍山防水堤) 준공.

9월 24일

• 서린동시탄소채시장(瑞麟洞柴炭蔬菜市場)을 설립함.

이달

• 경성역사(京城驛舍) 신축 준공.

10월 3일

• 종로경찰서, 종로 야시장(夜市場) 영업기한을 9월 30일까지에서 10월 31일까지로 연기함.

10월 15일

• 조선신궁(朝鮮神宮) 건축 완공.

10월 17일

• 경성부, 효창원 부근 수재민(한국인 214명, 일본인 16명) 대상으로 노량진 이전지 토지 분배를 추첨함.

10월 20일

• 경성부, 거래 부진으로 견지동 종로공설시장(鐘路公設市場)에 시장 철폐를 통보함.

11월 16일

• 조선~만주간 전화 개통.

12월

• 경성부 청사 상량식을 거행함.

이해

• 경성본정종합(京城本町綜合)빌딩을 건축함.

• 수양동맹회(修養同盟會)와 동우구락부(同友俱樂部)를 통합하여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를 조직함.

연관목차

1227/1457
병신년(丙申年), 1896년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 정치 경제
정유년(丁酉年), 1897년
신축년(辛丑年), 1901년
병오년(丙午年), 1906년
신해년(辛亥年), 1911년
병진년(丙辰年), 1916년
신유년(辛酉年), 1921년
병인년(丙寅年), 1926년
신미년(辛未年), 1931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신사년(辛巳年), 1941년
병술년(丙戌年), 1946년
신묘년(辛卯年), 1951년
병신년(丙申年), 1956년
신축년(辛丑年), 1961년
병오년(丙午年), 196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