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숙종 19년, 계유년(癸酉年), 1693년

조선 숙종 19년, 계유년(癸酉年), 1693년

1월 10일

• 임금이 태묘(太廟)에 알현(謁見)함.

2월 5일

• 성균관에 감귤을 반사(頒賜)하고 유생들을 시험하여, 수석을 차지한 진사 홍형(洪瀅)에게 급제(及第)를 내림.

2월 7일

• 능행로(陵幸路) 주변 각 고을로 하여금 조세로 바칠 쌀과 콩을 가을까지 물려서 바치게 하고, 이미 바친 자는 진휼청(賑恤廳)으로 하여금 곡물을 이전(移轉)해 주도록 함.

• 능행(陵幸)할 때 양주(楊州)와 광주(廣州)가 특히 피해가 많다 하여 광주는 조세로 바치는 쌀을 임시로 감해주고, 양주는 조세로 바치는 쌀과 콩을 모두 감해 주도록 함.

2월 18일

• 장희재(張希載)를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2월 20일

• 임금이 목릉(穆陵)을 알현(謁見)하고, 건원릉(健元陵) · 휘릉(徽陵) · 숭릉(崇陵) · 현릉(顯陵)을 두루 배알(拜謁)함.

2월 22일

• 사간 박만정(朴萬鼎)이 한성부우윤 장희재는 그 직에 부적합하다고 상소함.

2월 27일

• 승정원과 옥당(玉堂)에서 무지개의 변고 때문에 입시(入侍)하여 사치를 억제하고, 언로(言路)를 열며, 지체된 옥수(獄囚)를 판결하고, 관절(關節)을 금지하기를 청함.

• 새로 방방(放榜)한 생원 · 진사의 유가(遊街)를 금지하도록 함.

3월 23일

• 경덕궁 승휘전(承暉殿) 담장을 수리할 때 사람의 뼈들이 나오자, 임금이 이곳은 예전에 매장하던 곳이 틀림없다 하여, 다른 곳에 묻고 제사를 지내주도록 함.

4월 10일

• 형조의 옥에 갇혀있는 죄수의 수가 너무 많다 하여 즉시 죄인을 관대하게 처결하도록 함.

4월 13일

• 대신과 비국(備局) 신하들과 역노비(驛奴碑)의 사목(事目)에 관하여 논의함.

5월 13일

• 임금이 영소전(永昭殿)에서 작헌례(酌獻禮)를 행함.

6월 7일

• 정시윤(丁時潤)이 경덕궁의 수리역사로 백성들이 원망하고 있음을 상소함.

6월 11일

• 예조에서 장마가 계속되어 그치지 않으므로 영제(禜祭)를 지내기를 청함.

6월 14일

• 거대하고 사치스러운 누각(樓閣)을 지은 역관(曆官) 장찬(張燦)을 과죄하고 누각은 허물라고 함.

6월 19일

• 각도에서 큰 비가 내려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이 많으므로 휼전(恤典)을 행하도록 함.

6월 30일

• 큰 비로 한강이 범람하여 강변 주민이 익사함.

7월 3일

• 근래 여러 아문(衙門)에 돈을 주조(鑄造)하는 것을 허락하기 때문에 폐단이 있어 한 아문을 정하여 주조를 전담하도록 하고, 돈을 사사로이 주조한 죄는 교형(絞刑)에 처하고 종범(從犯)은 1등을 감하도록 함.

7월 23일

• 선공감(繕工監)에 소속된 압도(鴨島)와 노초도(蘆草島)를 궁가(宮家)에서 절수(折受)하였는데, 임금이 이를 허락하지 않음.

8월 11일

• 임금이 문묘에서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명륜당에서 유생들을 시험하여 7명을 뽑음.

8월 18일

• 가을비가 장마를 이루어 오래도록 그치지 않자 사대문에서 영제(禜祭)를 지내도록 함.

8월 28일

• 임금이 풍덕(豊德)의 후릉(厚陵)을 전알(展謁)하려고 출발하여 저녁에 파주 행궁(行宮)에 유숙함.

9월 2일

• 임금이 임진강에 도착하여 사람이 메는 가마로 강을 건넘.

9월 3일

• 임금이 파주를 출발, 주정소(晝停所)에 도착하여 어가(御駕)를 따르는 군병들을 시재(試才)함.

9월 25일

• 이준(李浚)이 창덕궁 수리의 사치스러움을 아룀.

10월 1일

• 유명천(柳命天)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8일

• 개성부의 장진강(張震綱) 등이 목청전(穆淸殿)과 경덕궁(敬德宮) 중건을 건의함.

• 훈련대장 이의징(李義徵)이 문수산(文殊山)을 살펴보고 돌아와 축성에 관하여 아룀.

11월 9일

• 신후재(申厚載)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1월 28일

• 감귤을 성균관에 내리고 책문(策文)을 유생들에게 시험하여 5명을 뽑음.

연관목차

984/1457
신사년(辛巳年), 17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