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세종 27년, 을축년(乙丑年), 1445년

조선 세종 27년, 을축년(乙丑年), 1445년

1월 1일

• 임금이 부마(駙馬) 안맹담(安孟聃) 집으로 이어함.

1월 2일

• 임금이 연희궁에 이어하고, 세자는 경복궁으로 돌아옴.

• 한성부사를 지낸 유계문(柳季聞)이 죽음. 시호는 안숙(安肅).

1월 4일

• 직함이 갈린 자는 경복궁에서 숙배하게 함.

1월 5일

• 성저십리의 굶주린 백성들을 살펴 쌀과 간장을 나누어줌.

1월 7일

• 신숙주(申叔舟) · 성삼문(成三問) · 손수산(孫壽山)을 요동에 보내 운서(韻書)를 질문하여 오게 함.

1월 11일

• 승문원 · 통례문 · 사역원의 정4품관과 종4품관 칭호인 첨지(僉知)를 부지(副知)로 개칭함.

1월 13일

• 매를 잡아 진상하는 자에 대한 포상 기준을 정함. 옥송골(玉松鶻)은 면포 30필, 잡송골(雜松鶻)은 15필.

1월 16일

• 세종의 일곱 째 아들 평원대군(平原大君) 이임(李琳)이 세상을 떠남.

• 세자가 연희궁에 조회함.

1월 21일

• 보제원 · 홍제원에 있는 동 · 서 기민진제장(飢民賑濟場)의 원사(院舍)를 늘리고, 진제장 마다 의원 1명을 두고 제용감(濟用監)에서 옷을 공급하게 함.

1월 24일

• 조혜(趙惠)를 한성부윤으로 삼음.

1월 28일

• 임금이 거처를 연희궁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도록 하고, 희우정(喜雨亭)을 수리하게 함.

1월 30일

• 동 · 서활인원의 두 진제장 의원 수를 늘려 2명을 둠. 한성부에서 올린 기민 수는 보제원(普濟院) 67명, 동활인원(東活人院) 90명, 홍제원(弘濟院) 70명, 서활인원(西活人院) 48명인데 계속 모여듦.

2월 9일

• 공신 자제로 이루어진 충의위(忠義衛) 군사들에게 학업을 받게 하여 서용하게 함.

2월 10일

• 경기도 감사가 양식 부족으로 요청한 군자미(軍資米) 2만섬을 내어줌.

2월 11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 진양대군(晉陽大君) 이유(李瑈)를 수양대군(首陽大君)으로 개칭함.

2월 12일

• 세자가 연희궁에서 조회함.

2월 13일

• 임금이 희우정으로 이어함.

• 서울에 지진이 일어남.

2월 22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2월 24일

• 사직단 · 영녕전 · 종묘의 큰 재계는 3일, 문묘석전 · 풍운뇌우단 · 우사단 · 선농단 · 선잠단의 재계는 2일, 선왕과 선후의 기일 재계는 1일로 정함.

2월 29일

• 서울에 기근이 들어 쌀값이 폭등함. 면포 1필에 3말 7되.

3월 2일

• 한강 양화도에서 수전(水戰)을 연습하게 하고, 세자가 대군과 함께 희우정(喜雨亭) 서쪽 산봉우리에 나가 구경함. 이천(李蕆) 등이 3군(三軍)을 거느리고, 허수아비를 실은 배 4척을 적군으로 삼아 20보 거리에서 주화질려포(走火蒺藜砲)를 쏘면서 전투 연습을 함.

3월 3일

• 흉년으로 성균관의 춘등(春等) 과시를 정지함.

3월 4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3월 5일

• 명과학(命課學)을 하는 장님 10명을 골라 서운관에 소속시킴.

3월 6일

• 세자가 건원릉의 별제를 대행함.

3월 7일

• 세자가 헌릉의 별제를 대행함.

• 성저십리(城底十里) 이내의 각 부 백성들에게 군자미 1천석을 진대함.

3월 11일

• 세자가 이어소(移御所) 희우정에서 조회함.

3월 15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와 모화관에서 화포를 구경함.

3월 20일

• 광평대군(廣平大君) · 평원대군(平原大君)의 묘지 인근에서 경작하는 자들에게 삼전포(三田浦) 목장의 땅을 떼어 줌.

3월 26일

• 세자가 계조당(繼照堂)에서 조참(朝參)을 받고, 이어소에서 조회함.

3월 27일

• 세자가 서울에 돌아옴.

3월 30일

• 《치평요람(治平要覽)》이 이루어짐.

•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이 이루어짐.

4월 4일

• 하연(河演) · 김종서(金宗瑞) 등이 수릉을 살피고 돌아와 헌릉(獻陵)의 서혈(西穴)로 정함.

4월 5일

• 권제 · 정인지 · 안지 등이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10권 125장을 올림.

4월 10일

• 문무 산관(散官)의 법을 세우기 전의 과거 합격자에게도 산관을 제수함.

4월 11일

• 내의원에 조관(朝官)으로 별좌(別坐) 2명을 더 두어 임금의 약과 원내의 공무를 전담하게 함.

4월 12일

• 임금이 연희궁으로 환어하고, 희우정 인근의 백성에게 쌀을 하사함.

4월 15일

• 세자가 연희궁에 문안하고 서울로 돌아옴.

4월 16일

• 황금으로 소신지보(昭信之寶)를 만듦.

4월 22일

• 개경사 · 회암사 등 절에 부녀들의 왕래를 금함.

4월 27일

• 가뭄이 심하여 억울한 옥사를 심리하고, 곤궁한 백성을 진휼함.

• 내시원(內侍院)을 내직원(內直院)으로 개칭함.

5월 1일

• 서울의 성저십리(城底十里) 백성에게 식량 600석을 나누어 줌.

• 판한성부사 권전(權專)을 추증하여 좌의정으로 삼음.

• 국가의 중한 일 외의 서무는 세자가 대신 다스리게 함.

5월 5일

• 세자가 문소전(文昭殿)에서 단오제를 대행하고 연희궁에 문안드림.

5월 6일

• 북교에서 비 오기를 빎.

• 능실을 지키는 수호군(守護軍)을 수릉관(守陵官)으로 개칭함.

5월 7일

• 세자가 모화관에서 활 쏘는 것을 구경하고 연희궁에 문안드림.

• 가뭄으로 호랑이 머리를 한강 · 양진 · 박연에 담금.

5월 8일

• 저자를 폐하고 길거리로 옮김.

5월 9일

• 무당과 중을 모아 석척기우제(蜥蜴祈雨祭)를 행함.

5월 11일

• 사직단과 소격전에서 기우제를 행함.

5월 12일

• 풍운뇌우와 우사제를 행하고, 삼각산 · 목멱산에서 기우제를 행함.

5월 14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5월 16일

• 세자가 계조당에서 조참을 받고 연희궁에 문안드림.

• 종묘에서 비를 빎.

5월 18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 소격전에서 비를 빎.

5월 19일

• 비가 내림.

5월 20일

• 세자가 연희궁에 문안드림.

5월 21일

• 비가 흡족하게 내려 술 올리는 것을 허락함.

5월 22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5월 25일

• 큰 비가 내림.

• 세자가 모화관에서 총통군(銃筒軍)을 시험하고, 연희궁에 문안함.

6월 1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6월 3일

• 세자가 광화문에서 갑사(甲士) · 방패(防牌) · 근장(近仗) 등을 총통군으로 시험함.

• 세자가 연희궁에 문안함.

6월 5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6월 8일

• 세자가 연희궁에 문안함.

6월 11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6월 13일

• 사관(史官)이 처음으로 서연(書筵)에 들어감.

6월 14일

• 세자가 연희궁에 문안함.

6월 19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6월 21일

• 세자가 연희궁에 문안함.

6월 24일

• 홍제원(弘濟院) 벌판에서 사람이 벼락을 맞음.

7월 1일

• 정갑손(鄭甲孫)을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김세민(金世敏)을 한성부윤(漢城府尹)으로 삼음.

7월 4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7월 5일

• 3범 절도는 이전의 죄도 통산하여 교형에 처하게 함.

7월 6일

• 세자가 연희궁에서 조회함.

7월 9일

• 농사에 실패한 경기 · 충청도에 공법(貢法) 시행을 정지함.

7월 12일

• 세자가 서울에 돌아옴.

7월 13일

• 전제(田制) 개혁 21개조를 시행함. 한강도(漢江渡) · 삼전도(三田渡) · 노도(路渡) · 양화도(楊花渡) 승(丞)의 늠급위전(廩給位田)은 본래 모두 8결 50복인데 지금 8결을 주고, 진척(津尺)의 위전(位田)은 본래 32결인데 지금 20결을 주고, 노도는 본래 32결 50복인데 지금 15결을 주고, 삼전도는 본래 11결인데 지금 10결을 주고, 양화도는 본래 19결 50복이고, 광진(廣津)은 본래 3결이고, 조강(祖江)은 본래 12결.

7월 14일

• 세자가 연희궁에서 조회함.

7월 15일

• 승도가 날로 증가함에 따른 대비책을 마련하게 함.

7월 16일

• 세자가 서울에 돌아옴.

7월 17일

• 장마비가 심하니 급히 기청제를 지내게 함.

• 농사 실패로 양로연을 정지함.

7월 18일

• 세자가 연희궁에서 조회함.

• 충순위(忠順衛) 설치. 2품 이상의 자손, 서(婿) · 제(弟) · 질(姪)과 경관(京官)의 실행 3품과 외관(外官)의 3품 수령의 자손과 일찍이 대성(臺省) · 정조(政曹)를 지낸 자의 아들로 구성.

7월 19일

• 임금이 임영대군(臨瀛大君)의 집으로 이어하고자 하여 건물을 수리함.

7월 20일

• 북교 · 종묘 · 사직에서 기청제를 지냄.

7월 22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7월 24일

• 세자가 연희궁에 조회함.

7월 25일

• 판한성부사를 지낸 신인손(辛引孫)이 죽음. 시호는 공숙(恭肅).

8월 1일

• 세자가 연희궁에서 조회함.

8월 6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 서반으로 수령을 지내지 않은 자는 4품으로 승진할 수 없으며, 3품 이상은 동반의 예에 따르게 함.

8월 8일

• 세자가 연희궁에서 조회함.

8월 11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8월 15일

• 세자가 문소전(文昭殿)에 추석제를 행하고, 연희궁에서 조회함.

8월 16일

• 소금을 관장하는 의염색(義鹽色)을 설치하고 도제조 · 제조 · 별감을 임명함.

8월 20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 의염색을 전운색(轉運色)에 통합함.

8월 23일

• 세자가 연희궁에서 조회함.

8월 24일

• 군자와 의창을 분리하여 매출 · 매입하게 하는 등 구휼대책 4개조를 정함.

8월 26일

• 화포(火砲)에 약(藥)을 조합하는 것은 환관(宦官)이 맡고, 화약장(火藥匠)은 화포장(火砲匠)으로 개칭하여 화포만 제조하게 함.

8월 29일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옴.

9월 1일

• 흥천사(興天寺) · 흥덕사(興德寺)의 창호지(窓戶紙)와 자리[席]를 각기 소속한 절에서 거두어 쓰게 함.

9월 3일

• 동적전(東籍田)의 경작 담당자를 논함. 처음에는 전농(典農)의 선상노(選上奴) 200명이 경작하였으나 이들이 도망하여 양주(楊州) 근처의 10결 이상의 민호를 전농에 예속시켜 경작함.

9월 5일

• 세자가 서울에 돌아옴.

9월 8일

• 판한성부사 정갑손(鄭甲孫)이 함길도에서 신천지 찾는 일의 폐단을 복명함.

9월 9일

• 세자가 헌릉에서 별제를 대행함.

9월 11일

• 세자가 서울에 돌아옴.

9월 13일

• 세자가 연희궁에 조회함.

9월 18일

• 전라도에서 수운하는 배 39척이 풍랑으로 실종되니, 한성소윤(漢城少尹) 민건(閔騫)을 보내 살피게 함.

9월 22일

• 마포(麻浦)에서 만든 왜선(倭船)이 완성되니, 양화도(楊花渡)에서 이를 적선으로 삼아 전투 연습을 함.

9월 24일

• 세자가 서울에 돌아옴.

9월 26일

• 25세 미만인 자는 충순위에 입속하지 못하게 함.

9월 27일

• 세자가 연희궁에 조회함.

• 화포를 관장하는 합약소(合藥所)를 사표국(司豹局)이라 칭하고 그 직책과 정원을 정함.

• 연희궁 인근의 백성 60여 명에게 음식을 내림.

9월 29일

• 세자가 대행하여 평강현에서 강무함.

10월 6일

• 세자가 강무(講武)에서 돌아와 연희궁(衍禧宮)에 조회함.

10월 8일

• 임금이 수양대군의 집에 이어함.

10월 27일

• 집현전에서 《의방유취(醫方類聚)》 전 365권을 완성함.

11월 4일

• 세자가 계조당(繼照堂)에서 조참을 받고, 서연(書筵)에서 강함.

11월 6일

• 중들이 병자를 간호하는 묵사(墨寺)를 헐고 한증과 목욕하는 기구 및 미포(米布)는 동 · 서활인원의 노비에게 나누어 주고, 재목과 기와로는 왜관(倭館)을 수리함.

11월 14일

• 시전의 공장(工匠)과 상고(商賈)가 판매하는 가짜 물건을 철저히 규찰하게 함.

11월 15일

• 세자가 모화관에서 활 쏘는 것을 구경함.

11월 19일

• 춘추관(春秋館)에서 작성한 《태조실록(太祖實錄)》 15권, 《공정왕실록(恭靖王實錄)》 6권, 《태종실록(太宗實錄)》 36권 네 본(本) 가운데 한 본은 춘추관 실록각(實錄閣)에, 세 본은 충주(忠州) · 전주(全州) · 성주(星州) 사고(史庫)에 보관하게 함.

11월 27일

• 삼각산과 도봉산에 산지기를 두어 벌채를 금하게 함.

12월 4일

• 저화를 사용하는 데 있어 지켜야 할 8개 조목을 정함. 녹봉과 각사의 공공비용을 저화로 지급할 것, 저화의 종이는 주 · 현에서 사섬서에 바치는 휴지를 이용할 것, 손상된 저화 2장을 새 저화 1장과 교환해 줄 것 등.

12월 12일

• 갑사(甲士) · 별시위(別侍衛) · 총통위(銃筒衛) · 근장(近仗) · 방패(防牌) · 섭육십(攝六十)의 교대 기한을 정함. 2월 20일과 8월 20일에 체번.

12월 18일

• 전주 · 충주 · 성주사고에 태조 · 정종 · 태종실록을 봉안함.

연관목차

734/1457
신사년(辛巳年), 14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