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세종 23년, 신유년(辛酉年), 1441년

조선 세종 23년, 신유년(辛酉年), 1441년

1월 1일

• 절일사(節日使) 윤형(尹炯)이 칙서(勅書)를 가지고 오니, 사정전(思政殿)에서 맞이함.

1월 11일

• 처음으로 근정문에 나아가 조회를 받음. 2품 이상은 영제교(永濟橋) 안에 서고, 3품 이상은 영제교 밖에 서게 함.

1월 26일

• 임금이 동교에 나아가 매사냥을 구경함.

1월 29일

• 임금이 동교에 거둥하여 매사냥을 구경함.

2월 3일

• 춘등강무(春等講武)를 금지함.

2월 10일

• 진사 이석형(李石亨) 등 100명을 뽑아 근정전에서 발표함. 나이 25세 이하로 제한함.

2월 18일

• 임금이 모화관에서 활 쏘는 것을 구경함.

2월 26일

• 생원 이석형(李石亨) 등 100명을 선발하여 근정전에서 발표함.

• 임금이 온정(溫井)에 행차할 때 승지 2명과 병조 당상관 2명은 도성에 머물게 함.

2월 30일

• 호가(豪家)의 토지 점거 행위를 금지함.

• 갑사 · 별시위 · 충의위 · 내금위의 마필을 검열함.

3월 1일

• 온수현(溫水縣) 행차 때 10리 밖에 군사를 배치하게 함.

• 갑사 6번 교체에 따른 녹봉 지급과 근무를 점검함.

3월 6일

• 군자(軍資) 미두(米豆) 12만석을 방출하여 백성을 진휼(賑恤)하게 함.

3월 10일

• 한강(漢江)에서 통진(通津)에 이르는 강변 고을의 양인(良人)과 공천노자(公賤奴子) 100호를 생선간(生鮮干)으로 정하고, 3번으로 나누어 잡역 대신 생선을 잡아 내선(內膳)을 공급하게 함.

3월 17일

• 왕과 왕비가 온수현(溫水縣)에 행차함.

3월 20일

• 대가(大駕)가 온천 행궁에 도착하자 군사와 번휴자(番休者)를 돌려보냄.

5월 2일

• 거가(車駕)가 행궁을 출발함.

5월 5일

• 임금의 대가가 헌릉(獻陵) · 삼전도(三田渡) · 흥인문(興仁門)을 거쳐 근정전으로 환궁함.

5월 16일

• 근정문에서 문과(文科)를 시험하고, 모화관(慕華館)에서 무과(武科)를 시험함.

5월 18일

• 문과 이석형(李石亨) 등 33명, 무과 권숭후(權崇厚) 등 28명을 뽑아 근정전에서 발표함.

5월 19일

• 최양선(崔揚善)의 상소에 따라 정업원(淨業院) 동쪽 언덕에서 종묘 주산에 이르기까지 소나무를 심음.

5월 21일

• 문소전 · 강녕전의 주맥이 상한 것을 높은 담을 쌓고 행인의 통행을 금지하여 지기(地氣)를 보강하게 함.

5월 28일

• 전시(殿試)를 행할 때 거자(擧子)를 전정(殿庭)의 동서에 열좌(列坐)하여 시험을 보도록 하는 등 시법(試法)을 엄하게 함.

6월 6일

• 무과의 영친(榮親)을 문과의 예에 의하도록 함.

6월 8일

• 정군(正軍) · 봉족(奉足) · 잡색군(雜色軍)의 군적을 바로잡음.

6월 9일

• 최양선(崔揚善)이 경복궁을 가회방(嘉會坊) 제생원터로 옮기자고 상서함.

6월 22일

• 북교에서 비를 빎.

6월 27일

• 비가 옴.

• 사직에 비를 빎.

6월 28일

• 정인지(鄭麟趾)에게 《치평요람(治平要覽)》을 편찬하게 함.

7월 3일

• 큰 비가 내림. 병조 · 한성부 · 금화도감(禁火都監)으로 하여금 성안에 수재가 미칠 만한 곳에 사는 백성들은 미리 피하게 함.

• 조회할 때 장엄함을 보이기 위하여 운검(雲劒)을 제외한 군사들은 갑옷을 입게 함.

• 수참(水站) 판관은 역마 대신 항상 참선(站船)으로 순행하게 함.

7월 7일

• 이해부터 충청도에 공법(貢法)을 시행하게 함.

7월 10일

• 밤에 성중(城中)에 큰 물이 나니, 임금이 병조 · 한성부 · 금화도감(禁火都監)과 오부(五部) 관리들로 하여금 도성 내외의 수재(水災)가 염려되는 곳을 구호하게 하고, 중관(中官)으로 하여금 수침(水浸) 상황을 살피게 함.

7월 12일

• 창덕궁 조계청(朝啓廳)과 동월랑(東月廊) · 집현전 장서각이 종묘의 주산(主山) 내맥에 있다 하여 모두 헐어 새 길을 내어 종묘에 왕래하게 함.

7월 13일

• 몽학(蒙學) · 왜학(倭學)의 역과(譯科) 시험에 사서(四書)도 강(講)하게 하고, 왜학은 1명만을 시취하게 함.

7월 14일

• 소나무 금벌법(禁伐法)에 따른 산지기를 증원하여 단속을 철저히 하게 함.

7월 15일

• 임금이 광화문(光化門)에서 활 쏘는 것을 구경하고, 철촉 화살을 시험해서 쏘게 함.

7월 18일

• 임금이 창덕궁에서 종묘 주산의 내맥을 봄.

7월 23일

• 왕세자빈 권씨(權氏)가 동궁 자선당(資善堂)에서 원손(元孫)을 낳으니, 대사면령을 내림.

7월 24일

• 왕세자빈 권씨가 죽음.

7월 25일

• 두 번의 생별(生別)과 한 번의 사별을 당한 세자를 위해 자선당 밖에 한 궁을 따로 지어 살게 함.

7월 28일

• 원손(元孫)이라는 이름을 가진 자는 이름을 바꾸게 함.

8월 8일

• 큰 비가 와서 성중 인가가 물에 잠기고, 평지에 물이 3척이 됨.

• 비가 많이 와서 사대문에서 기청제를 지냄.

8월 9일

• 왕세자빈 묘의 수호군을 30호로 정함.

8월 11일

• 시호법(諡號法)을 정함. 왕공과 3품 이상의 공과와 선악을 상고함.

• 산릉(山陵) 제도에 금 · 은 장식을 금하는 것을 항식으로 삼음.

8월 12일

• 종묘 · 사직 · 소격전에 기청제를 지냄.

8월 18일

• 서운관(書雲觀)에는 주물로 만든 측우기, 개천(開川)과 한강에는 수표(水標), 지방 관아에는 자기(磁器)나 와기(瓦器)의 측우기를 설치함. 서운관 측우기는 대 위에 쇠로 만든 길이 2척 · 직경 8촌의 크기로 설치. 서운관원이 측량하여 보고함. 개천 수표는 마전교(馬廛橋) 서쪽 수중에 박석(薄石)을 놓고, 돌 위를 파고 부석(蚨石) 둘을 세워 가운데에 방목주(方木柱)를 세우고, 쇠갈고리로 부석을 고정시켜 기둥 위에 척 · 촌 · 분수를 새김. 호조 낭청이 빗물의 높낮이를 살펴 보고함. 한강 수표는 강변 암석 위에 푯말을 세우고 척 · 촌 · 분수를 새김. 도승(渡丞)이 측량하여 호조에 보고함. 지방 관아 측우기는 한성의 주물 측우기에 의함. 수령이 우량을 재어 감사에게 보고하고 감사가 전문(傳聞)함.

8월 23일

• 수성전선색(修城典船色) 별감(別監)은 위의색(威儀色)과 금화도감(禁火都監)의 예에 의하여 병조 낭청(郞廳) 한 사람으로써 겸임하게 함.

8월 29일

• 각도의 역로(驛路) 이수(里數)의 거리를 다시 측량하여 30리마다 푯말을 세우거나 토석을 쌓거나 수목을 심어 표시함.

9월 6일

• 임금이 부마 연창군(延昌君) 안맹담(安孟聃) 집으로 이어함.

9월 7일

• 왕세자빈의 시호를 현덕(顯德)이라 함. 행실이 안팎에 보인 것을 현(顯)이라 하고, 충화(忠和)하고 순숙(純淑)한 것을 덕(德)이라 함.

9월 14일

•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이명덕(李明德)을 보내어 왕세자빈의 시책(諡冊)을 내림.

9월 17일

• 유계문(柳季聞)으로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삼음.

9월 24일

• 임금이 경복궁으로 돌아와 근정전에서 81명에게 양로연(養老宴)을 베풂.

9월 27일

• 왕비가 사정전에서 부녀자 215명에게 양로연을 베풂.

9월 29일

• 임금이 영흥대군(永興大君)이 병으로 머물고 있는 금성대군(錦城大君) 이유(李瑜)의 집에 거둥하였다가 즉시 돌아옴.

10월 2일

• 임금이 금성대군 이유(李瑜)의 집에 거둥하였다가 곧 환궁함.

10월 4일

• 군사들에게 쇠살촉으로 무예를 연습시킴.

10월 8일

• 임금이 건원릉(健元陵)에 제사를 지냄.

10월 9일

• 임금이 헌릉(獻陵)에 제사를 지냄.

10월 10일

• 임금이 금성대군 이유(李瑜)의 집에 거둥하였다가 곧 환궁함.

10월 13일

• 임금이 금성대군 이유(李瑜)의 집에 거둥하였다가 곧 환궁함.

10월 16일

• 종친과의 혼인을 거부한 자들을 징계함.

• 내금위 군사를 180명에서 60명으로 줄여 정예화하고 봄 · 가을에 무예를 시험하여 선발하도록 함.

10월 23일

• 큰 바람이 불고 비가 오다가 수강궁 효우당(孝友堂) 기둥에 벼락이 치니, 그 집을 헐게 함.

10월 25일

• 하번 갑사와 별시위의 취재(取才) 기준을 정함.

11월 3일

• 보충갑사(補充甲士)의 기사(騎射) · 보사(步射) · 창(槍) 시험의 등급을 정함.

11월 8일

• 동대문 밖 중량포(中良浦)에서 온천을 찾았으나 얻지 못함.

11월 14일

• 권전(權專)을 판한성부사로, 이효인(李孝仁)을 한성부윤으로 삼음.

11월 25일

• 임금이 서현정(序賢亭)에 나아가 활쏘기를 구경함.

윤11월 2일

• 큰비가 내리고 천둥과 번개가 침.

윤11월 16일

• 왕비가 광평대군 이여(李璵)의 집으로 이어함.

• 판한성부사 권전(權專)이 죽음. 시호는 경혜(景惠).

윤11월 22일

• 임금이 광평대군 이여의 집으로 거둥하였다가 곧 돌아옴.

윤11월 23일

• 임금이 광평대군 이여의 집에 거둥하였다가 곧 돌아옴.

윤11월 25일

• 광평대군 이여의 집에 거둥하였다가 곧 돌아옴.

윤11월 27일

• 광평대군 이여의 집에 거둥하였다가 곧 돌아옴.

• 최사의(崔士儀)를 판한성부사로, 황치신(黃致身)을 한성부윤으로 삼음.

윤11월 28일

• 광평대군 이여의 집에 거둥하였다가 곧 돌아옴.

12월 1일

• 광평대군 이여의 집에 거둥하였다가, 곧 돌아옴.

12월 2일

• 왕비가 경복궁으로 환어함.

• 절에서 금과 진채(眞彩)를 쓰는 것을 금함.

12월 26일

• 명나라 사신 오양(吳良)과 왕흠(王欽)이 오니 모화관에서 맞이함.

연관목차

730/1457
신사년(辛巳年), 14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