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세종 24년, 임술년(壬戌年), 1442년

조선 세종 24년, 임술년(壬戌年), 1442년

1월 5일

• 명나라 사신이 가지고 온 물건을 한성부와 개성부의 부상(富商)에게 사도록 함.

1월 6일

• 명나라 사신이 가져온 물건을 경기 · 충청 · 황해 · 강원 · 전라 · 경상도의 자원하는 사람이 저포(苧布) · 마포(麻布)를 가지고 무역하도록 함.

1월 8일

• 2품 이상 벼슬아치의 부모상에 반드시 조위(弔慰)하도록 함.

1월 9일

• 임금이 왕비 · 동궁과 함께 금성대군 이유(李瑜)의 집으로 이어함.

1월 21일

• 사신관(使臣館) 무역을 위해 충청 · 전라 · 경상도로 하여금 의창(義倉)의 포화(布貨)로써 민간의 저마포(苧麻布)를 사서 서울에 수송하도록 함.

1월 25일

• 강원도에 흉년이 드니 한성에서 이천(伊川) 온정(溫井)에 이르는 역리(驛吏)들을 빈부에 따라 곡물을 대여하여 역마를 미리 기르게 함.

1월 27일

• 한성부로 하여금 성저십리에 있는 민가들을 부역에 차출할 때 호적에 의거 균등히 배정하게 함.

1월 29일

• 70세 이상의 조관은 입직(入直)하지 않게 함.

2월 1일

• 허후(許詡)를 한성부윤으로 삼음.

2월 2일

• 임금이 중궁과 함께 경복궁으로 환어함.

2월 15일

• 제생원(濟生院)을 혁파하여 침구(鍼灸) 전문생을 혜민제생원(惠民濟生院)에 분속시킴.

• 의정부로 하여금 관원의 집 칸수와 단청 · 금은의 남용을 규제하도록 하고, 절의 옛터에 다시 복원하는 일은 한성의 경우 한성부의 허가를 받도록 함.

• 중이 되고자 할 경우 정전(丁錢)을 바치고 도첩을 받게 한 규정을 지키게 하고, 한성에서는 사헌부에서 이를 규찰하게 함.

2월 17일

• 정조사(正朝使) 성염조(成念祖)가 북경으로부터 돌아오니, 임금이 모화관에 나아가 맞이함.

2월 18일

• 두 사신이 노량(路梁)에 나아가 배를 타고 놀다가 가을두(加乙頭)에 이르고, 와요청(瓦窯廳)에서 여악을 연주하고 놀이함. 21일에도 가을두에 나아감.

2월 21일

• 임금이 강원도 이천(伊川) 온정(溫井)에 거둥하는 사이에 흥천사(興天寺) 사리각에서 경찬회(慶讚會)를 베풀게 함.

2월 24일

• 모든 왕지(王旨)를 교지(敎旨)라고 일컫게 함.

2월 26일

• 명나라 사신이 돌아가니 모화관에서 전송함.

2월 27일

• 검시(檢屍)하는 일에 대해 한성의 경우 한성부 관원이 시행하게 함.

3월 1일

• 를 짓기 위하여 태조가 왜구를 소탕한 상황을 상세히 기록하여 아뢰게 함.

3월 2일

• 각처의 제단을 흙으로 쌓고 봉상시(奉常寺)로 하여금 엄히 살피게 함.

3월 3일

• 강원도 이천(伊川) 온정(溫井)에 거둥하고 춘등강무(春等講武)도 거행함.

3월 24일

• 흥천사(興天寺)에서 경찬회(慶讚會)를 베풀고 닷새 만에 마침.

4월 22일

• 임금이 한성에 돌아와서 금성대군(錦城大君)의 사제(私第)에 거처함. 대궐 안에 병든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피궁함.

5월 1일

• 임금과 왕비가 경복궁으로 돌아옴.

5월 8일

• 우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정함. 한성에서는 쇠를 주조하여 길이 1척 5촌, 직경 7촌의 측우기를 만들어 서운관(書雲觀)에 설치함. 서운관원이 측정하여 비온 날의 일시와 물 깊이의 척 · 촌 · 분의 수를 상세히 기록하여 즉시 보고하게 함.

5월 15일

• 임금이 진양대군 · 안평대군 · 김종서(金宗瑞) · 조서강(趙瑞康) 등에게 헌릉(獻陵)과 수릉(壽陵)을 살피게 함.

5월 21일

• 산릉수리도감(山陵修理都監)을 설치하여 건원릉(健元陵) · 제릉(齊陵) · 헌릉(獻陵)을 수리하게 함.

5월 25일

• 진양대군 등에게 헌릉(獻陵)의 수보할 곳과 수릉(壽陵)의 땅을 살피게 함.

5월 26일

• 진양대군 · 이백강(李伯剛) 등에게 건원릉의 수보할 곳을 살피게 함.

6월 10일

• 사은사 겸 주문사(奏問使)로 명나라에 갔던 정연(鄭淵)이 돌아오니, 모화관에서 맞이함.

6월 19일

• 이선(李宣)을 판한성부사, 정충경(鄭忠敬)을 한성부윤으로 삼음.

6월 24일

• 대소 종친들의 동성혼을 금하게 함.

6월 26일

• 판통례문사(判通禮門事) 문민(文敏)의 딸과 주부(注簿) 권격(權格)의 딸을 세자의 승휘(承徽)로 삼음.

7월 4일

• 사대문에서 기청제(祈晴祭)를 지냄.

7월 7일

• 겸한성판관(兼漢城判官) 최암(崔庵)으로 하여금 함길도 추수 상황을 둘러보게 함.

7월 10일

• 북교에서 기청제를 거행함.

7월 16일

• 공법(貢法) 시행을 위해 각도 곡식의 상황을 규찰할 관리를 뽑음. 대간 · 육조의 5품 이상을 지낸 사람으로 청렴하고 부지런하며 근신한 자.

7월 21일

• 성균관 유생과 동 · 남부 학생들이 삼각산 덕방암(德方庵)에 놀러갔다 중들과 싸워 의금부 옥에 구속됨.

7월 23일

• 행직(行職) · 수직(守職)의 법을 처음 사용함.

7월 27일

• 사대문에서 기청제를 지냄.

8월 1일

• 임금이 9일 문 · 무과를 친히 보이기로 하고, 문과는 성균관시와 한성시로, 무과는 훈련관시(訓練觀試)로 하게 함.

8월 9일

• 왕세자가 근정전에서 응시자를 고강(考講)함.

8월 10일

• 왕세자가 근정전에서 과거 응시자의 강경(講經)을 고사(考査)함.

8월 12일

• 신개(申槩) · 권제(權踶) 등이 찬술한 《고려사》를 올림.

8월 13일

• 임금이 근정전에서 책문(策問)을 과시(課試)하고, 광화문 밖에서 무과 시험(14일까지)을 보임.

8월 14일

• 문과에서 이교연(李皎然) 등 8명, 무과에서 박거겸(朴居謙) 등 17명을 뽑음.

• 임금이 이백강(李伯剛) · 하연(河演) · 김종서(金宗瑞) · 강석덕(姜碩德)으로 하여금 헌릉(獻陵)의 수즙 상황을 살피게 함.

8월 18일

• 임금이 근정전에서 문과 · 무과 급제자를 발표함.

8월 25일

• 임금이 근정전에서 80명에게 양로연을 베풂.

8월 27일

• 중궁이 양로연을 베풂.

• 양궁이 금성대군의 집으로 거처를 옮김.

8월 28일

• 수양(收養) · 시양(侍養) 자녀와 동성 친속 · 이성 친속 · 처친(妻親)은 모두 사촌을 한계로 노비를 주고받는 일을 금지시킴.

8월 30일

• 진양대군 · 안평대군 · 조서강(趙瑞康)으로 하여금 헌릉의 수리상황을 살피게 함.

9월 3일

• 한성부윤 정충경(鄭忠敬)을 명나라에 성절사(聖節使)로 보냄.

• 가을 강무를 세자가 대행하게 함.

• 의정부에서 첨사원(詹事院)의 제도를 개정함.

• 한성부로 하여금 처리한 사건 수를 10일마다 한번씩 이조에 이첩하도록 함.

9월 4일

• 태조 · 정종 · 태종의 실록을 고쳐 수찬하게 함.

9월 10일

• 임금이 건원릉(健元陵)에 제사를 올림.

9월 11일

• 임금이 헌릉(獻陵)에 제사를 올림.

9월 12일

• 세자가 강무를 대행하는 사목 19개조를 정함. 별시위 가운데 50명을 선발하여 2대로 나누어 1대는 앞에서 1대는 뒤에서 인도하고 옹위함.

9월 14일

• 풍수학 지리서를 익힐 자를 20세 이하로 제한하여 선발함.

9월 15일

• 임금이 동궁으로 거처를 옮김.

9월 16일

• 임금이 승화당(承華堂)에 나아가 정사를 봄.

9월 28일

• 임금이 강녕전에 환어함.

9월 30일

• 집현전에서 진(秦) · 한(漢)부터 명(明)나라 때까지의 제고(制誥) · 조칙(詔勅)을 수록한 《사륜전집(絲綸全集)》과 《사륜요집(絲綸要集》을 편찬함.

10월 4일

• 한성에 정착한 귀화인 이도을치(李都乙赤)가 본토로 도망가자 그의 처자를 천인으로 삼음.

10월 5일

• 주자서원(鑄字書員)을 24명에서 10명을 더 설치함.

10월 7일

• 왕세자가 양주 등지에서 강무를 대행함.

• 김세민(金世敏)을 한성부윤으로 삼음.

10월 10일

• 왕세자가 강무에서 돌아옴.

10월 24일

• 식년과거에 사서삼경 이상을 통한 사람은 배강(背講)하여 시취하게 함.

11월 19일

• 종묘 제사를 세자가 대행할 때 임금이 친향하는 예에 의거하게 함.

11월 24일

• 추위로 풍저창(豊儲倉)과 의정부 사인사(舍人司) 건축을 중단시킴.

11월 26일

• 서부 · 중부학당 생도들이 보등사(寶燈寺)에 가서 행패를 부리니, 이들과 교수관을 추국함.

11월 27일

• 광주(廣州)와 부평(富平)에 온정(溫井)을 파게 함.

12월 9일

• 왕세자가 종묘 납향을 대신 행함.

12월 19일

• 왕심역(往心驛)에서 노상강도가 발생하니, 의금부 · 형조 · 한성부로 하여금 잡게 함.

12월 25일

• 사은사로 명나라에 갔던 최사강(崔士康)이 돌아오니 모화관에서 맞이함.

12월 26일

• 별궁(別宮)을 후원(後苑)에 짓기 위해 간의대(簡儀臺) 동쪽에 집터를 정하고 간의대를 그 북쪽에 옮기게 함.

12월 27일

• 임금이 밤에 사정전에서 나희(儺戱)를 구경함.

연관목차

731/1457
신사년(辛巳年), 14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