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의 농장

조선전기의 농장

[ 朝鮮前期-農莊 ]

시대명 조선

중세사회 대토지 경영의 한 방식. 전장(田莊, 또는 전장(田庄))·전원(田園)·농장(農場)으로도 쓰인다.

일반적으로 고려 후기에 농장 관련 기사가 많이 보이므로 이 무렵에 등장했다고 보기도 하지만, 정상적인 수조지나 소유지에서 경영되는 농장은 고려 이전부터 존재했는데 이 시기에는 수조지의 집적·탈점이 성행, 이를 근거로 농장이 확대되고 있었기 때문에 문제로 부각되었던 것 같다. 즉 고려 말에 문제되었던 농장은 수조지를 겸병, 소유화까지 하는 대토지 경영이었고, 개혁에서도 이러한 불법적인 권력형 농장만이 그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농장은 소유지에 바탕을 두어야 했고 형성방법도 탈점이 훨씬 줄어드는 추세였다. 그리하여 16세기에 급속도로 확대되는 농장은 주로 개간·매득에 의해 성립되었고, 농장주도 권세가뿐 아니라 향촌사회의 지배층인 ·품관에 이르기까지 광범하게 된다.

농장의 규모는 축소되어, 고려 말 의 농장이 수백 결 내지 수천 결이었던 데 비해 최소 5, 6결에서 최고 5, 60결 정도에 불과했다. 또한 경영방식도 변해, 고려 후기의 노장은 노비를 비롯, 농민도 「압량위천」하여 노비적 경영을 했지만, 조선 전기의 농장은 그보다 신분적 예속성이 약한 병작인 위주로 경영했다. 이는 과전법에서 성장, 지위향상을 경험했던 소경영 자영농이 15세기 말부터 몰락, 전호(佃戶) 또는 노비로 되었으므로 이전처럼 노비와 같이 취급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농장은 단순히 일반농민의 소토지 소유에 대한 대토지 소유자로서의 경제적 우위에 그치지 않았다. 경작지뿐 아니라 임야·천택(川澤)까지 손을 뻗쳐 그 산물을 독점하고, 심지어 농민들에게 곡식을 빌려주고 장리를 취하는 등 지방사회의 경제력을 장악해 갔던 것이다.

또한 농장은 조선 지배층의 경제적 기반일 뿐 아니라 그들의 생활근거지였다. 퇴임하면 물론이고 유배도 자신의 농장이 있는 곳으로 갔으며, 현직에 있어도 농장에 자주 왕래하면서 그곳을 근거지로 삼았다. 농장에는 제사·빈객·관혼 등에 필요한 일체의 물자를 갖추어, 사대부로서의 생활에 필요한 모든 행사를 치를 수 있게 했다. 이곳에서 사족의 교류도 이루어져 농장은 그 지방사회에서 사대부들의 문화생활의 중심이 되었다. 아울러 서재·서당·가숙(家塾)을 지어 자제들을 교육, ·를 배출하기도 하는 등 조선 초 유교문화 보급과 사대부 문화의 재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