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인

중인

[ 中人 ]

시대명 조선

조선시대 지배계급인 과 피지배계급인 양민 사이에 위치했던 중간계층을 가리키는 말. 기술관을 비롯한 , 중앙과 지방의 (胥吏, 실무 담당 하급관리), 군교(軍校)·토관(土官, 평안·함경·제주도의 토착세력에 주었던 특수한 관직) 등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중인이란 명칭은 기술관들이 서울의 중심지역에 모여 살았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고려시대까지는 양반관료와 비교할 때 별다른 차별대우가 없었는데, 고려 말부터 조선 초기에 이르기까지 약 1세기에 걸쳐 이루어졌던 사회신분층의 재편과정에서 상급 지배신분층으로 부각된 양반사대부에 의해 점차 천시되어 사회적으로 차별대우를 받게 되었다.

이들의 전통이나 교양은 양반 못지않았으나, 관직은 의관(醫官)·역관(譯官)·천문관(天文官)·지관(地官)·산관(算官)·율관(律官) 등 각종 실용기술과 행정말단의 실무를 맡는 데 한정되었다. 또 이들이 맡았던 기술이나 행정직은 전문지식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지식의 세습과 함께 관직도 계승되어 양반계층과 섞일 수 없는 폐쇄적인 신분층으로 고정되었다. 17세기 이후 청나라와의 무역이 왕성해 지자, 통역을 맡았던 사람 중에서는 밀무역을 하거나 상인들의 무역관계를 교섭해줌으로써 부를 쌓아 유력한 상업자본가로 성장하기도 했다. 또 중인층은 양반계층에 비해 국제정세나 근대문명에 보다 민감하여, 근대 개화사상의 발생과 초기 부르주아 개혁운동에서 선구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