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정

백정

[ 白丁 ]

시대명 조선

조선시대 도살·고리(유기(柳器))제조·육류판매 등을 주로 하며 생활하던 천민층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가장 광범하게 존재하던 농민층을 의미했으나, 고려 말 조선 초를 거치면서 그 의미가 변한 것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백정을 고려시대 백정과 구분하기 위해 「신백정(新白丁)」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다. 백정이라는 말이 변화한 것은 1423년(세종 5)의 일인데, 이전까지의 (才人)·(禾尺)을 개칭한 것이라고 한다. 즉 조선시대 백정은 이전의 재인과 화척을 합해 부르는 신분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문헌을 검토해 보면 재인은 백정 계열과는 달리 표현되고 있어서, 조선시대 백정은 이전의 화척을 고쳐 부른 것으로 봐야 한다. 조선시대 백정 또는 그 전신인 화척은 대개 유목민족 출신으로, 조선사회에 정착하면서도 유목민의 생활습속을 버리지 못하고 고리제조와 판매, 육류판매 등에 종사하거나 수렵·목축 등의 생활에서 터득한 짐승도살의 기술을 되살려 도살업에도 진출했다.

조선 초기 국가는 이들 백정을 농경에 종사시키기 위해 토지를 지급하고 호적에 편입시켰으며, 능력있는 사람은 향학(鄕學)에 응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또 그들만의 집단생활을 금지하고 평민과 함께 섞여 살도록 함으로써, 그들의 유목민적 기질을 순화시키려 했다. 그러나 국가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농경에 정착하지 못하고 이전부터 행해 오던 고리제조·도살·육류판매에 활발히 진출했다.

조선시대 백정은 신분이 천인이었으므로 기본적으로 국가에 대한 각종의 부담이 없었고, 이 때문에 일반 평민 중에서도 생활이 곤란해지면 백정으로 변신하는 사람이 해마다 증가하여 백정의 수는 점점 늘어났다. 천민으로서의 백정이 신분해방이 된 것은 1894년 때였으나, 조선시대 500년을 통해 지속되었던 일반인들의 차별의식은 해소되지 않아 혼인은 물론 같은 마을에서 생활하는 것조차 꺼렸다. 결국 일제침략기까지 백정 신분이 존재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