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굉필

김굉필

[ 金宏弼 ]

시대 조선
출생 - 사망 1454년(단종 2년) ~ 1504년(연산군 10년)
본관 서흥(瑞興)
이명 : 대유(大猷)
: 사옹(蓑翁), 한훤당(寒暄堂)
직업 문신, 학자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서흥, 자는 대유(大猷), 호는 사옹(蓑翁)·한훤당(寒暄堂).

할아버지 대부터 살아오던 서울 정릉동에서 태어났으며, 주로 영남지방의 현풍 및 합천의 야로(冶爐, 처가), 성주의 가천(伽川, 처외가) 등지를 내왕하며 사류(士類)들과 사귀고 학문을 닦았다. 이때 (金宗直) 문하에서 소학>을 배웠고, 이를 계기로 <소학>에 심취하여 스스로를 「소학동자」라 일컬었을 뿐 아니라, 평생의 모든 처신을 <소학>에 따라 행했다 하여 「소학의 화신」이란 평을 들었다.

1480년(성종 11) 시에 합격하여 에 입학했고, 94년 경상도 이극균(李克均)에 의해 천거되어 관직생활을 시작했다. 98년 때, 김종직의 문도(門徒)로서 붕당을 만들었다는 죄목으로 평안도 희천에 유배되었다가 2년 뒤 순천으로 옮겨졌다. 그는 유배지에서도 학문연구와 후진교육에 힘써, 희천에서는 (趙光祖)에게 학문을 전수하여 우리나라 유학사의 정맥을 잇도록 했다. 1504년 때 무오당인(戊午黨人)이란 죄목으로 죽임을 당했으며, 중종반전 이후 신원되었다. 그 뒤 의 개혁정치가 추진되면서 그의 업적이 재평가되고 크게 부각되었는데, 이는 조광조를 비롯한 제자들의 정치적 성장과 무관하지 않다. 1610년( 2), 과 성균관 및 각 도 유생들의 계속되는 상소로 인해 (鄭汝昌)·조광조·(李彦迪)·(李滉)과 함께 5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되었다.

학문적으로는 (鄭夢周)·길재(吉再)·(金叔滋)·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우리나라 유학사의 정통을 계승했다. 그러나 김종직에게서 배운 기간은 짧아서 스승의 후광보다 자신의 학문적 성과와 교육적 공적이 더 크게 평가되고 있다. 「치인(治人)」보다는 「수기(修己)」에 치우치는 성향이어서, 현실상황에 적극적·능동적으로 대응하려는 자세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20여 명이나 되는 문인들이 두 차례의 속에서도 큰 타격을 받지 않고 유배지 교육활동을 통해 더욱 보강되어, 뒷날 개혁정치를 주도한 기호지방 사림파의 주축을 형성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