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선사건

박동선사건

[ 朴東宣事件 ]

시대명 현대

<워싱턴 포스트>지가 재미실업가 박동선의 의회로비활동을 폭로한 데서 발단되어 한·미간의 외교마찰로까지 번진 사건. 일명 코리아게이트 사건.

1976년 10월 24일 <워싱턴 포스트>가 박동선이 한국정부의 기관요원으로 70년대에 연간 50만 내지 1백만 달러 상당의 뇌물로 90여 명의 의원 및 공직자를 매수했다고 폭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에 26일 한국정부가 박동선과 무관하다는 성명을 발표하자 27일 <워싱턴 포스트>는 청와대 도청설을 추가로 터뜨려 증거가 있음을 주장했고, 한국 측은 이를 중대한 주권침해 행위로 간주, 미국정부의 공개해명을 요구하고 나섰으며 미국정부는 로비 활동에 대한 철저한 조사 의지를 표명, 도피 귀국해 있던 박동선의 송환을 요구했다. 한국정부가 이를 거절, 양국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는 가운데 마침내 한국 측이 양보, 박동선의 면책특권을 조건으로 사법부의 증언에 응하기로 했으나 미국 측은 다시 박씨의 의회증언과 전 주미대사 김동조(金東祚)의 소환증언을 고집했다. 한국이 김대사의 미의회증언을 끝내 거절하자 미국의회는 대한식량(PL480) 5천6백만 달러를 전액 삭감하는 등의 압력을 가하기도 했다.

결국 85만 달러의 선거헌금과 선물을 32명의 전현직 의원들에게 제공했다는 박씨의 증언과 금전거래사실을 부인하는 김대사의 서면답변서를 토대로 78년 10월 16일 미국 하원윤리위원회가 조사결과보고서를 발표함으로써 2년의 세월을 끌던 박동선사건은 마무리되고, 미국의 해너 전하원의원이 실형선고를 받고 7명이 징계를 당하는 선에서 그쳤다. 이 사건이 그 실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확대된 것은 <워터게이트 사건>의 여파가 미국정계에 여전히 남아 있는 가운데 유신체제에 대한 미국 조야의 불만이 팽배해 있던 당시의 상황 때문이었다.

관련이미지

박동선

박동선 검찰 조사를 받고 나오는 박동선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동의어

코리아게이트 사건

연관목차

1055/1295
5. 데탕트와 박정권의 위기
6. 유신독재체제의 수립
박동선사건 지금 읽는 중
7. 유신체제하의 민주화운동
8. 70년대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9. 민족문화운동의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