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청학련사건

민청학련사건

[ 民靑學聯事件 ]

시대명 현대

정부당국이 단순한 시위지도기관을 국가변란을 목적으로 폭력혁명을 기도한 반정부조직으로 왜곡·날조한 사건.

1974년 3월 들어 각 대학에서 유신철폐시위가 빈발하는 한편, 전국 대학의 반독재 연합시위계획에 대한 정보가 입수되는 가운데 4월 3일 서울대·연대·성대·이대 등 주요 대학에서 소규모 시위와 함께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약칭 민청학련) 명의의 민중·민족·민주선언>과 <민중의 소리> 등의 유인물이 일제히 뿌려지자 정부는 이날 오후 「공산주의자의 배후조종을 받은 민청학련이 점조직을 이루고 암호를 사용하면서 2백여 회에 걸친 모의 끝에 화염병과 각목으로 시민폭동을 유발했으며 정부를 전복하고 노농(勞農)정권을 수립하려는 국가변론을 기도했다」는 내용의 이른바 <민청학련사건>에 대한 특별담화를 발표한 데 이어 밤 10시를 기해 4호를 선포했다.

이 사건으로 비상군법회의에 송치된 사람은 전대통령, 지학순 주교, 박형규 목사, 김동길·김찬국 교수, 김지하 시인을 비롯, 인혁당 재건 관련자 21명, 인 2명을 포함, 무려 253명에 이르며 이철·김지하 등 14명에게 사형이 선고되고 정문화 등 16명에게는 무기징역, 나머지 사람들에게는 최고 20년에서 최하 5년의 징역이라는 사상 유례없는 중형이 선고되어 내외에 큰 충격을 던졌다.

이후 구속자석방을 요구하는 집회 및 시위가 학계 및 종교계를 중심으로 광범하게 번져가고 각계각층의 반독재민주화투쟁이 격화되는 한편, 미국 의회에서 대한 군사·경제원조의 대폭 삭감이 논의되는 등 국제여론이 악화되자, 이에 당황한 정부는 사건발생 10여 개월 만에 인혁당 사건관련자와 위반자 일부를 제외한 사건관련자 전원을 석방함으로써 이 사건이 날조된 것임을 스스로 폭로했다.

이 사건은 당초 계획한 연합시위조차 실행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종교계·학계 등 광범위한 세력의 연대의 틀을 마련했으며, 지식인의 노동현장 진출, 출판문화운동 등 부문운동을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고 민중생존권문제를 전면에 제기함으로써 민중지향적 변혁운동의 흐름을 부각시키는 등 그 사회적 의의와 여파가 매우 컸다.

연관목차

1070/1295
6. 유신독재체제의 수립
7. 유신체제하의 민주화운동
민청학련사건 지금 읽는 중
8. 70년대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9. 민족문화운동의 형성
10. 북한의 주체사상 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