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민주구국선언사건

3·1민주구국선언사건

[ 三一民主救國宣言事件 ]

시대명 현대
연도 1976년

1976년 3월 1일 명동성당에서 개최된 3·1절 기념미사를 빌미로 정부가 재야의 지도급 인사들을 정부전복선동 혐의로 대량 구속한 사건. 일명 명동사건.

사건 직후 검찰은 「일부 재야인사들이 반정부분자를 규합, 민주회복국민회의·갈릴리교회 등 종교단체 또는 사회단체를 만들어 각종 기도회·수련회·집회 등 종교행사를 빙자하여 수시로 회합·모의하면서 긴급조치 철폐, 정권퇴진 요구 등 불법적 구호를 내세워 정부전복을 선동했다」고 발표했다.

이 사건의 직접적 발단이 된 것은 이날 기도회의 마지막 순서로서
①이 나라는 민주주의 기반 위에 서야 한다
②경제입국의 구상과 자세가 근본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
③민족통일은 오늘 이 겨레가 짊어진 최대과업이다
라는 내용의 낭독이었으나, 그 배경에는 1월 23일의 원주기도회사건 및 원주선언, 2월 16일 전주기도회에서의 김지하 관계발언과 유인물 등이 있었다.

이 사건으로 기소된 사람은 정치인 윤보선·김대중·정일형을 비롯 <씨알의 소리> 발행인 함석헌, 윤반웅·문익환 목사, 함세웅·신현봉·김승훈 신부, 이문영·서남동 교수 등 모두 18명에 달했고 재판부에 대한 기피신청, 변호인단 총사퇴 등 파란을 일으킨 끝에 문익환·김대중·윤보선·함석헌에게 징역 5년 자격정지 5년이 선고되는 등 관련자 전원에게 실형이 선고되었다. 이 사건은 피고들이 사회의 지도급 인사라는 점에서 내외에 미친 파장이 컸으며 재판과정에서 정치적·법률적 체제공방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등 유신체제에 대한 집중적 거부와 항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지만, 한편 70년대 명망가 중심의 운동을 대표하는 사건으로 그 한계가 지적되기도 한다. 이 사건을 계기로 재야와 정치인, 신교와 구교, 한국교회와 세계교회의 연대가 강화되었다.

관련이미지

명동사건으로 국회의원직을 상실한 정일형씨가 의사당을 떠나고 있는 모습.

명동사건으로 국회의원직을 상실한 정일형씨가 의사당을 떠나고 있는 모습. 출처: 한국근현대사사전

동의어

명동사건

연관목차

1081/1295
6. 유신독재체제의 수립
7. 유신체제하의 민주화운동
8. 70년대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9. 민족문화운동의 형성
10. 북한의 주체사상 확립
1. 광주민주화운동과 신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