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광고탄압사건

동아일보 광고탄압사건

[ 東亞日報廣告彈壓事件 ]

시대명 현대

자유언론 실천에 앞장서 강력한 투쟁을 전개한 <동아일보>에 대한 보복으로 정부가 각 기업체와 기관에 광고해약 압력을 가한 사건.

<동아일보>가 1974년 10월 24일 자유언론실천선언>으로 언론자유수호투쟁을 선도한 데 이어 보도금지된 시위·집회·기도회 현장을 보도하고 개헌문제에 대한 사설을 취급하자 정부는 각 기업체 및 기관에 압력을 행사, 무더기 광고해약사태를 빚는 탄압을 자행했다. 12월 16일부터 시작되어 7개월간 계속된 광고탄압으로 12월 26일자 <동아일보>는 3면 백지 상태로 발행되었고, 75년 1월 25일에는 신문 상품광고의 98%가, 2월 8일에는 방송광고의 92%가 떨어져 나갔다. 그러나 <동아일보>에 대한 탄압을 본보기로 을 일거에 압살하려던 정부의 의도와는 달리 이 사건은 오히려 언론자유수호운동과 민주화투쟁을 범국민적으로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사건 직후인 12월 28일 기자협회는 항의성명을 발표,
△<동아일보>에 대한 정부의 박해중지
△구독운동 전개 △광고 해약회사 상품 불매
△<동아일보> 철회광고를 게재한 신문 불매
등의 행동강령을 제시함으로써 범시민적 저항운동을 유도했고 이에 호응하여 각 민주단체와 일반시민의 격려광고가 쇄도했으며, 국제신문인협회·국제기자연맹 등 세계적 언론단체들이 정부의 탄압조치에 항의, 탄압중지를 촉구하는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이러한 범국민적 저항운동에도 불구하고 75년 3월 <동아일보> 경영주는 정부의 압력에 굴복, 114명의 기자를 무더기로 해고함으로써 이 사건은 경영주에 대한 압력을 통해 언론을 지배하는 수단으로 광고탄압이 활용되는 선례를 남겼다.

연관목차

1075/1295
6. 유신독재체제의 수립
7. 유신체제하의 민주화운동
8. 70년대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9. 민족문화운동의 형성
10. 북한의 주체사상 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