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인

재인

[ 才人 ]

시대명 고려

고려·조선 때 천한 직업에 종사하던 무리의 하나.

일명 재백정(才白丁)이라고도 한다. 유목민족인 타타르(韃靼)의 후예로 고려 말의 정치적 혼란기에 우리나라로 들어온 것으로 보기도 하고, 나말여초 혼란기에 유입되었던 양수척의 일부가 고려 후기에 재인으로 변모했다는 견해도 있다. 고려이래 이들은 국가에 신공을 바쳐왔는데, 1414 년(조선 태종 14)의 경우 (楮貨) 50장을 내자시(內資寺)에 납공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들의 주된 생활수단은 과 마찬가지로 유기(柳器)·피물(皮物)의 제조와 도살·수렵·육류판매 등이었으며, 때로는 가무를 통하여 생활하기도 했는데, 조선 중기 이후에는 주로 창극 등의 기예에 종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자기들끼리의 집단생활과 혼인을 하며 여러 지역을 돌며 유랑생활을 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걸식·강도·방화·살인 등을 자행하게 되었고, 고려 말에는 왜구를 가장하여 민가를 약탈하기도 했다. 조선조에는 이들에게 토지를 지급하여 농업을 생업으로 삼도록 하고 신공을 면제시키는 한편 이들의 장적을 만들어 파악하게 했으며, 1423년(조선 세종 5)에는 이들이 천민이라는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해 화척과 더불어 (白丁)으로 개칭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이들은 여전히 재인 또는 재백정 등으로 불렸으며, 법제상으로는 양인이였으나 여전히 천민으로 인식되었다. 한편 이들은 유목민 출신으로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했으므로 여말선초에 각종 외적의 방어와 내란의 평정에 동원되어 큰 공을 세우기도 했으며, 이를 계기로 이들의 무예가 인정받으면서 세종 때 이후에는 취재(取才)를 통해 (甲士)·별패(別牌)·시위패(侍衛牌) 등의 군인으로 편입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