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리전

향리전

[ 鄕吏田 ]

시대명 고려

고려 때 지방의 에게 지급된 토지. 외역전(外役田)이라고도 한다.

고려의 향리는 국초에 반독립적 세력을 펴고 있던 에서 기원한다. 중앙집권화가 단행되면서 이들은 점차 향리로 재편되어 지위가 점차 하락하게 되었지만, 국가권력의 말단에 위치해 직접 ·를 수취하고 역역(力役)을 징발하는 등 지방통치에서 중요한 몫을 담당했다. 이들에게 국가는 그 직역에 대한 보수로서 일정한 직전을 지급해주었는데, 이 제도가 창설된 것은 향리직제가 마련되는 초로 여겨진다. 향리의 직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이 없어 그 액수나 수급 대상자·범위 등은 알기 어렵다. 고려사> 식화지 전제 공해전시조에 나와 있는 장전(長田)을 주현의 (戶長)에게 지급된 직전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으나, 이는 주현의 크기에 따라 5결에서 3결까지 배당되어 호장의 직전으로는 지나치게 적은 양이므로 그 직무수당을 마련하기 위해 할당된 토지로 추 측하기도 한다. 향리전은 (其人)에게도 지급되고 있었다.

이러한 향리전은 향리 직역이 세습적인 것이었으므로 그 직역을 잇는 자손에게 세습되었다. 조선 때 향리가 직무에 대한 대가를 전혀 받지 못한 것과는 달리 고려 때 향리전이 지급된 것은 이 시기 향리의 사회적 지위를 짐작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