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

백성

[ 百姓 ]

시대명 고려

고려 때의 신분계층 가운데 하나.

보통 일반국민·인민 등으로 해석 되지만 고려·조선 초에는 특정한 신분계층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는 당시 기록에는 「인리백성(人吏百姓)」·「백성(鄕吏百姓)」·「백성(其人百姓)」 등으로 직역을 담당하는 인리·향리·기인 등과 연기(連記)되어 사용된 예가 흔히 나타나는데, 이 경우에 일반백성·인민으로 해석한다면 위의 용어들이 제대로 풀이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백성의 구체적인 의미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었으나 대체적으로 촌락의 촌장(村長)·촌정(村正) 등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백성은 군현의 지배계층인 향리 등과 구별된 촌락의 지배자로서, 이들은 촌락 내에서 상당한 권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촌락 자체가 지방제도로서 국가권력과 직결되지 못했기 때문에 인리 등과 구별되어 신분적으로는 일반국민·인민과 차이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백성은 백성성(百姓姓)이라는 특정 성씨를 가지고 있으면서 인리성(人吏姓) 집단과는 구별되고 일반농민과도 구별되는 특정신분층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한편 백성을 성씨집단의 문제로서 파악해, 인리성과 백성성은 그 족단의 연원은 구별되나 함께 읍사(邑司)의 지배기구에 참여하는 등 신분적으로는 구별될 수 없다고 보는 견해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견해들을 종합해보면 백성과 인리의 관계나 그 신분적 위치 등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이나, 대체로 일반농민과 구별되는 의미로서 촌장·촌정 등의 재지 유력계층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점은 공통된다고 하겠다. 이에 대해 백성이라는 것은 나말여초 사회 변동기에 공동체 내의 계층적 결집을 목표로 한 공동체 재편과정에서 부각된 의식으로서 중앙지배층과 대비되는 포괄적인 계층을 가리키며, 여기에는 「장리백성」·「기인백성」·「서인백성(庶人百姓)」 등의 다양한 계층이 포함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