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고분

신라의 고분

[ 新羅-古墳 ]

시대명 고대/삼국

지역은 청동기와 초기 를 통해 청동기문화의 선진지역으로서 북방적인 성격이 오랫동안 계속되었는데, 석곽묘와 적석목곽분, 석실분으로 나눌 수 있다. 석곽묘는 미추왕릉 지구에서 볼 수 있듯이 냇돌로 벽을 쌓고, 천장을 몇 장의 판석으로 덮었으며, 봉토 주위에 호석을 둘렀다. 적석목곽분은 구덩이를 파고 목곽을 넣은 후 목곽 주위와 위를 돌로 덮은 다음 봉토를 씌운 것으로 경주지방 신라고분군의 한 특색이다.

적석목곽분은 거대한 봉토로 덮여 있고 무덤길 등이 없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도굴을 당하지 않아 부장품이 잘 남아 있다. (金冠塚), 금령총(金鈴塚), 서봉총, 황남대총·천마총 등이 여기에 속한다. 신라 말기 통일신라 시기에 이르면 횡혈식 석실묘가 등장한다. 평면 방형의 현실을 돌로 쌓아올리고 연도는 남벽 동쪽에 치우치게 하고 있다. 특히 통일신라시대의 무덤 주변에는 12지 신상이 둘러진 것이 많이 보인다. 경덕왕릉, 등이 호석으로 12지 신상을 두르고 있다. 또한 불교가 융성해지면서 화장묘(火葬墓)도 만들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