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총과 토총

석총과 토총

[ 石塚-土塚 ]

시대명 고대/삼국

석총은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무덤양식으로 초기 혼강·독로강 유역에서부터 평양에까지 퍼져 있으며, 고구려 말기까지 잔존했다. 초기에는 땅 위에 방형으로 냇돌을 깔고, 중심부에 동침의 목관을 안치한 후 그 위에 단을 이루면서 돌을 쌓아 덮은 것으로 관대가 지상에 위치한다. 석총이 더욱 발달하여 내부에 석실이 생기는 석실 적석총이 되는데 그중 이 가장 잘 정비되고 발달한 것이다.

이에 비해 토총은 4세기 후반 건조되기 시작되어 5세기경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만들어진다. 이 무덤양식은 고구려의 지배층이 수도를 평양으로 옮기면서 중국 쪽의 묘제를 채택한 것으로 돌로 쌓은 현실을 봉토로 덮은 것이다. 석총과는 달리 바닥을 반지하 또는 지하에 둔다. 무덤 내부는 단실, 3실도 있으나 전형적인 것은 2실(二室)이다. 즉 주실이 있고 앞에 전실을 두며, 벽면은 할석, 혹은 후기에는 판석으로 축조했다. 벽화를 그릴 때 할석의 경우에는 표면에 회를 바른 뒤 그렸고, 판석의 경우에는 돌 위에 직접 그렸다. 모든 토총에 벽화가 있는 것은 아니고, 벽화가 있는 무덤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것은 50여 기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