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

[ 半跏思惟像 ]

시대명 고대/삼국

삼국시대의 가장 일반적인 불상으로 대좌에 앉아 왼쪽 다리는 내리고, 오른쪽 다리는 왼쪽 무릎 위에 올려놓은 채 오른팔을 굽혀 턱을 괸 채 깊은 사색에 잠긴 형상을 하고 있다. 처음에는 석가모니가 득도하기 이전 태자였을 때의 사유상이었으나 점차 미륵보살 반가상으로 조성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불상은 대부분 미륵보살 반가상이다. 그래서 명칭도 일반적으로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으로 통칭하고 있다.

삼국시대 6세기경에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통일 초기까지 집중적으로 만들어졌다. 특히 삼국시대 신라에서는 의 성행과 아울러 미륵신앙이 유행했다. 즉 부처님이 되기 직전의 태자 모습이나 또는 미륵불이 되기 직전의 보살상의 모습이 마치 명재상·명장군이 되기 직전의 화랑들이 수행하는 모습과 동일하게 인식되어 화랑도 사이에서 미륵보살에 대한 신앙이 유행했다. 장군의 화랑도를 「용화랑도」라고 하는 것이 그 좋은 예이다. 우리나라 반가상의 최대 걸작으로 여겨지는 것은 국보 제83호와 제78호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이다. 지금 우리나라에는 약 20여 구의 금동미륵보살 반가상이 있다. 이러한 반가사유상의 형식은 에 전파되어 일본에서도 우리나라와 매우 유사한 반가사유상들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