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민주화선언

교육민주화선언

[ 敎育民主化宣言 ]

시대명 현대

한국YMCA 중등교육자협의회 산하 서울·부산·광주·춘천지역협의회 소속 중등교사 546명(초등교사 20명)이 1986년 5월 10일을 기해 일제히 발표한 선언.

「학생들과 함께 진실을 추구해야 하는 우리 교사들은 오늘의 참담한 교육현실을 지켜보며 가슴 뜯었다」로 시작되는 이 선언은 교육민주화의 조건으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보장 △교사의 교육권과 시민적 제권리 보장 △교육행정의 비민주성과 관료성의 배제 △자주적인 교원단체의 설립과 활동의 자유 보장 △보충수업과 심야학습의 철폐를 주장했다. 선언 발표 직후인 5월 15일 교사들은 <민중교육지사건>으로 해직된 교사들을 중심으로 <민주교육실천협의회>를 결성, 교육민주화운동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5월 21일 <자살학생위령제>, 7월 17일 <민주교육탄압저지대회>, 8월 29일 <민중교육지사건 1주년에 즈음한 민주교육실천대회> 등의 실천활동을 전개해나갔다.

교사들의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당국은 탄압조치로 일관, 한국 YMCA 중등교육자협의회 전국회장 윤영규(尹永奎) 등 3명의 전남지역 교사들을 도서 벽지로 전보발령 조치한 데 이어 이에 항의하는 위 교사들을 구속하는 등 86년 5월부터 87년 4월까지 11명 구속, 6명 타도전출, 26명 해임, 9명 정직 등 150여 명의 교사들을 교육민주화운동과 관련 처벌했다. 이러한 당국의 탄압에 항의, 재야단체의 교육민주화운동 지지선언이 잇따르고, 야당·종교계·재야단체가 연합한 <민주교육탄압저지 공동대책위원회>가 구성되는 가운데 교육민주화운동은 전국의 교사·학생·학부모에게 확산되어갔다.

교육민주화선언은 내신제 도입에 따른 반교육적 부작용, 해마다 과열되는 입시경쟁, 보충수업과 자율학습의 강제실시, 사학재단의 비리 등 80년대 들어 더욱 심화된 교육모순이 학생들의 잇단 자살 등 교육위기로까지 치닫자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일선교사들의 교육민주화운동이 일정한 결실을 맺은 것으로서, 85년 5월 우리나라 교육현실을 분석,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공식적으로 제기함으로써 집단필화사건에 휘말렸던 <민중교육지사건>에서, 87년 9월 자주적 교원단체인 <전국교사협의회>(전교협)의 결성 및 대한교련탈퇴운동, 그리고 89년 5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결성 및 으로 이어지는 교두보이자 교육민주화운동의 분수령으로 평가된다.

관련이미지

서울지역교사 대토론회(1987. 7. 14).

서울지역교사 대토론회(1987. 7. 14). 출처: 한국근현대사사전

연관목차

1229/1295
3. 제6공화국의 출범
4. 산업구조조정과 독점자본의 재편
5. 80년대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교육민주화선언 지금 읽는 중
6. 80년대 학생운동과 재야단체
7. 북한의 개방 움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