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공동위원회

미·소공동위원회

[ 美蘇共同委員會 ]

시대명 현대

의 결정에 따라 설치된 한반도문제 해결을 위한 미·소 양군의 대표자회의. 1946년 1월 16일 에서 예비회담을 가진 뒤, 같은 해 3월 20일 제1차 회의를 열었다. 미군대표는 아놀드 소장, 소련군 대표는 스티코프 중장이었다. 당시 탁치(託治)를 둘러싸고 좌우익의 대립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열린 미·소공위의 사업은 △조선의 정당·사회단체와의 협의에 의한 임시정부 수립 △임시정부 참여 아래서의 4개국 신탁통치협약 작성이었으나, 함께 협의할 정당·사회단체를 선택하는 데서 난관에 부딪쳤다.

소련은 3상회의 결정을 반대하는 정당·사회단체는 협의대상으로 할 수 없다고 주장, 미국이 제출한 남한 측 초청대상 20개 가운데 우익이 17개이며 이들이 모두 3상회의 결정을 반대하고 있다는 점, 60만 노조원을 가진 전평(全平)과 30만 회원이 있는 부총(婦總) 등 전국적 대중단체가 빠져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양 측의 의견대립으로 5월 6일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는 결렬되고, 다음해 5월 21일 제2차 미·소공위가 개최되었으나, 역시 임시정부 참여세력 문제를 두고 의견차이가 좁혀지지 않았다. 남북 각각에 입법기관을 설치, 그 대표로 임시정부를 구성하자는 미국의 제안을 남북분열을 조장하는 일이라 하여 소련이 거부하자. 10월 21일 제2차 회의도 결렬되었다. 이에 미국은 한국문제를 유엔에 넘기고 말았다.

관련이미지

덕수궁에서 막을 올린 미·소공위.

덕수궁에서 막을 올린 미·소공위. 출처: 한국근현대사사전

연관목차

738/1295
2. 남한단독정부 수립
미·소공동위원회 지금 읽는 중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4. 반민특위의 좌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