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종 21년, 병술년(丙戌年), 1526년

조선 중종 21년, 병술년(丙戌年), 1526년

1월 20일

• 흙비가 오다가 눈이 내림.

2월 18일

• 사족(士族)의 집을 수색할 때 의녀(醫女)로 하여금 간심(看審)하지 못하게 함.

2월 24일

• 성균관 하재(下齋) 유생들이 상재(上齋) 생원들을 헐뜯는 익명서를 재실(齋室) 기둥에 붙인 것을 추궁하여 처벌하게 함.

• 도성의 굶주린 백성을 위해 상평창(常平倉) 곡식을 더 방출하는 것을 호조가 반대하여 시행하지 않음.

3월 10일

• 임금이 경회루 아래서 무신들에게 활 쏘기를 시험함.

3월 12일

• 중궁(中宮)이 창덕궁에서 경복궁으로 환궁(還宮)함.

3월 14일

• 부모 · 조부모 · 양부모가 전수(傳授)한 적실한 문서 및 동기간에 화회(和會)한 것과, 매매(買賣)를 허락한 문서가 10년이 지난 일은 전후의 것을 일체 심리하지 말도록 함.

3월 17일

• 임금이 모화관(慕華館)에서 습진(習陣)을 관람함.

4월 20일

• 임금이 경회루 아래에서 관사(觀射)하고, 어제(御題)를 내려 재상 이하 모두에게 오언율시를 짓게 함.

5월 4일

• 양천(陽川)에 충해(蟲害)가 발생함.

5월 5일

• 한성부 · 형조 · 포도장(捕盜將) 등이 원각사(圓覺寺) 터에 잡인(雜人)들이 거처하면서 도둑의 소굴을 이루고 있으니 담장이 무너진 곳을 잇대어 쌓아 장위(長圍)를 만든 다음 사방에 문을 하나씩 내고 늘 지키게 하고 십가작통법(十家作統法)을 시행해서 드나드는 사람을 규찰하게 함.

5월 9일

• 광주(廣州) · 고양(高陽) · 금천(衿川) · 과천(果川) 등지에 충재(蟲災)가 발생함.

5월 11일

• 새로 간의(簡儀) · 혼상(渾象)을 만듦. 새 기구를 배설(排設)할 때 세종 때 만든 옛 기구의 어긋난 곳을 교정(校正) · 보수하여 내관상감(內觀象監)에 두도록 함.

5월 22일

• 과거(科擧)의 강서(講書) 시험 때 시관(試官)은 방 안에 앉거나 장막으로 가리게 함.

6월 2일

• 대간이 비변사(備邊司) 혁파를 청함.

6월 9일

• 성균관 명륜당(明倫堂) 뜰에 있는 잣나무가 벼락을 맞음.

6월 13일

• 예조가 모화관(慕華館) 영조문(迎詔門)의 제도를 중국 패루(牌樓) 모양을 본떠 세 칸의 문이 잇달린 패루 하나를 지을 것을 청함. 임금이 모화관은 열무(閱武)하는 곳으로 격구(擊毬)하면서 말을 달릴 때 패루 모양의 문은 방해가 될 것이라 함.

• 삼공의 반대로 비변사를 유지하게 함.

6월 17일

• 호랑이가 살곶이목장에 들어와 말들을 상하게 함.

6월 19일

• 살곶이목장에 들어온 호랑이를 잡음.

7월 7일

• 건춘문(建春門) 문루(門樓) 바깥에 익명서(匿名書) 화살이 박힘.

7월 17일

• 고양(高陽) · 양천(陽川) · 부평(富平) · 광주(廣州) · 김포(金浦) · 금천(衿川) 등지에 황충(蝗蟲)이 발생함.

7월 23일

• 밤에 지진이 발생함.

8월 15일

• 임금이 문소전(文昭殿)과 연은전(延恩殿)에 제사하고, 선원전(璿源殿)에 나아가 사배(四拜)를 거행하고 봉심(奉審)함.

9월 11일

• 임금이 망원정(望遠亭)에서 무재(武才)를 시험보임.

9월 16일

• 한성부판윤을 지낸 권균(權鈞)이 죽음.

9월 20일

• 한성부가 잘못 판결한 일은 타사(他司)로 이관시켜 다시 조사하여 시비를 판별하도록 하고, 삼당상(三堂上)과 판관(判官)을 체차하도록 함.

9월 21일

• 사관(史官)이 임금의 행행(行幸)에 전교가 있을 경우에는 이좌(離坐, 임금과 나란히 앉는 것)시켜 일을 기록하도록 하고, 전내(殿內)에 있을 때는 이좌시키지 말도록 함.

9월 22일

• 한성과 경기의 광주(廣州) 등 7고을에 지진이 발생함.

9월 24일

• 손중돈(孫仲暾)을 한성부판윤으로, 손주(孫澍)를 좌윤으로, 유여림(兪汝霖)을 우윤으로 삼음.

9월 26일

• 임금이 근정전(勤政殿)에서 문과 전시(殿試)에 출제(出題)하고, 경회루(慶會樓)로 나가 무과 전시를 거행함.

9월 29일

• 조옥곤(趙玉崑)을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10월 7일

• 경기의 광주(廣州) 등 8고을에 천둥치고 지진이 발생함.

10월 8일

• 재변으로 피전감선(避殿減膳)하고 철악(撤樂)하도록 함.

10월 17일

• 임금이 근정전에서 중시(重試) 문제를 냄.

• 임금이 경회루 아래에서 무과 중시 12명을 뽑음.

10월 18일

• 문과 중시 8명을 뽑음.

10월 20일

• 한성부판윤을 지낸 유담년(柳聃年)이 죽음.

11월 23일

• 성운(成雲)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2일

• 임금이 정전(正殿)으로 돌아감.

12월 20일

• 육조(六曹)와 당상관(堂上官)이 있는 아문(衙門)의 출근 상황을 정부에 보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함.

연관목차

816/1457
신유년(辛酉年), 15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