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명종 10년, 을묘년(乙卯年), 1555년

조선 명종 10년, 을묘년(乙卯年), 1555년

1월 5일

• 굶주린 백성들의 구휼을 위하여 호조의 공사(公事)를 거행하지 말도록 함.

1월 6일

• 겹햇무리가 발생한 변괴가 생긴 것에 대하여 홍문관으로 하여금 지난날의 문적을 고찰하여 아뢰게 함.

1월 27일

• 살곶이목장에 삯을 주고 백성을 모집하여 3년 공사기간으로 석성(石城)을 쌓도록 함.

2월 12일

• 한성부좌윤 홍담(洪曇)을 북경에 사은사로 보냄.

2월 29일

• 사찰의 주지(住持)와 지음(持音)은 호패 · 도첩의 유무를 논하지 말고 나이 33~34세 이상의 경(經)을 알고 도(道)를 통한 자를 천망하여 보고하도록 함.

2월 29일

• 풀씨가 비처럼 내림.

3월 29일

• 서부에 사는 악생(樂生) 김수장(金壽長), 남부에 사는 사노 조명중(趙命仲), 남부에 사는 참봉 김대관(金大觀), 동부에 사는 생원 홍윤(洪潤)의 아내 이씨 등을 효자로 정문하고 복호(復戶)하도록 함.

4월 3일

• 종묘의 협종(夾鍾)을 도난당함.

• 임금이 종묘에서 하향대제(夏享大祭)를 지냄.

4월 6일

• 문과 33명, 무과 28명을 뽑음.

4월 27일

• 한성 안의 동 · 서진제장(東西賑濟場)을 혁파함.

5월 11일

• 원계검(元繼儉)을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보냄.

• 을묘왜변(乙卯倭變)이 발발함.

5월 15일

• 심통원(沈通源)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5월 21일

• 왜인(倭人) 평장친(平長親)이 가져온 총통을 시험하니 정교하고 화약도 맹렬함.

5월 23일

• 비변사가 남대문 위의 큰 종을 부수어서 총통(銃筒)을 주조하기를 청함.

5월 29일

• 권찬(權纘)을 한성부좌윤으로, 한두(韓imagefont)를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7월 11일

• 사은사 홍담(洪曇)이 북경에서 돌아옴.

7월 16일

• 종묘 · 사직 · 풍운뇌우 · 명산 · 대천 등에 기우(祈雨)하도록 함.

7월 30일

• 도성문에 옹성(甕城)을 쌓기 위해 철거민들에게 다른 곳의 공지를 나눠주도록 함.

8월 12일

• 임금이 인가가 없는 곳은 수시로 옹성을 수축하고, 인가가 있는 곳은 정지하고 시기를 기다리게 함.

8월 22일

• 명나라에 왕래하는 역관(譯官)의 동(銅) · 납(鑞) 밀무역을 금함.

8월 23일

• 동지사(冬至使) 수행 통사로 하여금 궁각(弓角)을 무역하게 함.

8월 24일

• 임금이 모화관에서 열무(閱武)하고 무재(武才)를 관람함.

8월 26일

• 승속(僧俗)을 막론하고 9~10월을 기한으로 역사를 쉬게 하여 양식을 준비하게 함.

8월 27일

• 승군은 10월 20일부터, 당령수군(當領水軍)은 9월부터 역사를 시작하게 함.

8월 28일

• 축성과 조선(造船)은 모두 군국의 중요한 일이므로 부득이 중들을 조선하는데 역사시키려 한다면 9월부터 10월 20일까지는 식량의 준비를 위해 잠시 보내도록 함.

9월 4일

• 임금이 사정전에서 한어문신(漢語文臣)을 강시(講試)하고, 역관을 이문(吏文) 짓는 것으로 시험함.

9월 5일

• 김홍도(金弘度) 등을 사가독서(賜暇讀書)하게 함.

9월 16일

• 임금이 망원정에서 전선(戰船)을 시험하고 서교에서 농사를 살핌.

9월 24일

• 10년 이래로 사냥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나운 짐승이 횡행함. 10월 낙엽이 진 뒤에 장수들로 하여금 사냥하도록 함.

9월 26일

• 임금이 경회루에서 유장(儒將)으로 피선된 사람들이 활쏘는 것을 구경함.

10월 21일

•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전투에 참가한 공사천(公私賤)을 속량(贖良)함.

10월 28일

• 영의정 심연원(沈連源)이 군사를 거느리고 양주 주압산(走鴨山)에서 사냥함.

11월 19일

• 조식(曺植)이 문정왕후를 깊숙한 궁중의 한 과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며 국사(國事)를 상소함.

윤 11월 17일

• 각도에 축성하는 일은 잠시 정지하였다가 이듬해에 역사를 마치도록 함.

12월 12일

• 대왕대비가 창덕궁의 동궁으로 이어함.

연관목차

845/1457
신축년(辛丑年), 16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