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명종 13년, 무오년(戊午年), 1558년

조선 명종 13년, 무오년(戊午年), 1558년

2월 24일

• 명나라 사신을 모화관에서 맞이함.

3월 3일

• 임금이 경회루에서 두 사신에게 잔치를 베풀고 물고기와 불놀이를 구경함.

3월 8일

• 대신들이 명나라 사신과 한강에서 유람함.

3월 16일

• 임금이 모화관에서 돌아가는 중국사신에게 전연(餞宴)을 베풂.

3월 17일

• 세자 책봉에 따른 경사로 원접사 · 통사의 벼슬을 올려주고 은상을 내림.

4월 22일

• 윤춘년(尹春年)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5월 1일

• 가뭄으로 술을 금함.

• 임금이 제천정(濟川亭)에서 전선을 시험한 뒤 동교(東郊)에서 농사를 살핌.

5월 4일

• 심광언(沈光彦)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5월 12일

• 임금이 광화문에서 문신과 무신이 활 쏘는 것을 구경함.

5월 28일

• 제천정(濟川亭)에서 행한 수전(水戰) 연습 중 군율을 어긴 장사(將士)를 치죄하게 함.

6월 10일

• 임금이 사정전에서 문신들에게 이문(吏文)과 한어(漢語)를 강시(講試)함.

6월 20일

• 기청제(祈晴祭)를 거행하도록 함.

7월 7일

• 삼정승이 한성부 서리들이 1품인 종친의 첩을 모욕한 사건을 다스리되, 사족(士族)을 모욕한 것으로는 다스리지 말도록 함.

8월 5일

• 박충원(朴忠元)을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8월 6일

• 임금이 근정전에서 문과 전시(殿試)의 글제를 내고, 광화문에서 무과를 시험함.

8월 15일

• 윤부(尹釜)를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8월 18일

• 성균관과 사학의 관원은 일찍이 대간(臺諫)과 시종(侍從)을 지낸 사람으로 차임(差任)하도록 함.

8월 28일

• 김수문(金秀文)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9월 2일

• 비와 개암만한 우박이 섞여 내림.

9월 17일

• 비와 콩만한 우박이 섞여 내림.

9월 29일

• 기전(畿甸) 고을이 실농하여 지난해의 공채(公債)를 받지 말게 함.

10월 3일

• 비와 콩만한 우박이 섞여 내림.

10월 10일

• 임금이 근정전에서 생원 · 진사 급제자를 방방(放榜)함.

11월 2일

• 임금이 문 · 무과를 친히 시험보여 문과 35명, 무과 28명을 뽑음.

12월 7일

• 채세영(蔡世英)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2월 17일

• 이탁(李鐸)을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12월 30일

• 임금이 충순당 앞에서 화산대(火山臺) 관람 중 화약이 터져 어좌가 있는 악차(幄次)까지 흩어져 날림.

연관목차

848/1457
신축년(辛丑年), 16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