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조 원년, 무진년(戊辰年), 1568년

조선 선조 원년, 무진년(戊辰年), 1568년

1월 14일

• 임금이 학교 진흥책을 전국에 전교하고, 입학할 때 《소학(小學)》을 시험하게 함.

2월 1일

• 인순왕후의 수렴청정을 중단하고, 선조의 친정(親政)이 시작됨.

2월 3일

• 명나라 사신 장조(張朝)와 구희직(甌希稷)이 대행왕의 시호인 공헌(恭獻)을 가지고 오니 영조문(迎詔門)에서 맞이함.

2월 6일

• 명나라 사신이 성균관에서 알성(謁聖)하고 태평관으로 돌아감.

2월 7일

• 명나라 사신이 돌아가니 모화관에서 전송함.

2월 24일

• 을사사화 때 적몰된 자와 그 처자로 종이 된 자와 연좌되어 귀양간 자들을 신원(伸寃)함.

2월 27일

• 명나라에서 요신(姚臣)과 이경(李慶)이 책봉 사신으로 오니 영조문에서 맞이함.

4월 8일

• 박순(朴淳)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4월 25일

• 공무역을 5년간 중지하고, 사무역을 일체 금지하게 함.

6월 1일

• 증광문과를 실시하여 33명을 뽑음.

7월 2일

• 명나라 사신 성헌(成憲)과 왕새(王璽)가 오니 모화관에서 맞이함.

7월 4일

• 명나라 사신이 성균관에서 알성하고 경회루를 유람함.

7월 12일

• 홍문관에서 뜻을 세울 것, 음사(淫祀)를 금할 것 등 6조목을 아룀.

7월 26일

• 송순(宋純)을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7월 28일

• 성균관유생들이 정업원 혁파를 여러 차례 상소함.

8월 1일

• 이황(李滉)을 실록청 당상을 겸임하게 하여 《명종실록》찬수에 참여하게 함.

8월 22일

• 내수사가 인민들에게서 침탈한 노비 중 선두안(宣頭案)에 적혀 있는 자는 모두 주인에게 환급하도록 함.

11월 1일

• 천둥이 치고, 팔도에 지진이 발생함.

12월 1일

• 이황이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올림. 1. 태극도 2. 서명도 3. 소학도 4. 대학도 5. 백록동규도 6. 심통성정도 7. 인설도 8. 심학도 9. 경재잠도 10. 숙흥야매잠도.

연관목차

858/1457
신축년(辛丑年), 16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