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조 41년 · 광해군 즉위년, 무신년(戊申年), 1608년

조선 선조 41년 · 광해군 즉위년, 무신년(戊申年), 1608년

1월 17일

• 종실(宗室)이 지방에 살 수 없는 법을 어기고, 근래 지방에 살면서 봉록을 받는 종실이 많으니 모두 파직시킴.

1월 20일

• 종묘의 상량문을 지어 고묘송축(告廟頌祝)하게 함.

• 과거장(科擧場)에 응시자가 많아서, 도적질과 축재(蓄財)의 폐단을 감시하고 순찰하게 함.

1월 21일

• 임금이 밤에 몰래 사형을 집행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영구한 규칙으로 만들게 함.

2월 1일

• 임금이 행궁의 정전에서 57세로 승하함. 존호는 현문의무성경달효(顯文毅武聖敬達孝), 묘호는 선종(宣宗), 능호는 목릉(穆陵), 혼전(魂殿)은 영모전(永慕殿)이라 함.

2월 2일

• 세자가 정릉동행궁 서청에서 즉위함.(광해군 즉위)

2월 8일

• 대신들이 대행대왕의 묘호를 선종(宣宗)에서 선조(宣祖)로 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의견을 제시함.

2월 11일

• 궁궐의 서북쪽 담장 밖을 무사와 훈련도감 군사들로 하여금 주야로 요해처에 나누어 엄히 지키게 함. 궐내에서 입직하는 무사와 포수를 증원하고 차비문 근처는 도총부 관원이 무사 · 초관 · 포수를 데리고 들어와서 호위하도록 함.

2월 14일

• 임해군(臨海君)을 진도(珍島)에 유배 보냄.

2월 20일

• 임해군을 강화 교동(喬桐)으로 이배(移配)함.

2월 21일

• 고부청시청승습사(告訃請諡請承襲使) 이호민(李好閔) 등이 명나라로 떠남.

2월 25일

• 대행대왕(선조)의 휘호를 소문의무성경달효대왕(昭文毅武聖敬達孝大王), 묘호는 선종(宣宗), 전호는 영모전(永慕殿), 능호는 숙릉(肅陵)으로 고침.

3월 1일

• 정인홍(鄭仁弘)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4월 14일

• 이산해(李山海) · 홍여순(洪汝諄) · 유영경(柳永慶) · 이이첨(李爾瞻) 등이 대북(大北) · 소북(小北) · 골북(骨北)으로 분파됨.

5월 7일

• 선혜청(宣惠廳)을 설치함.

5월 19일

• 대행대왕(선조)의 휘호 소문(昭文)을 현문(顯文)으로, 숙릉(肅陵)을 목릉(穆陵)으로 고침.

5월 28일

• 가뭄이 심하여 세 번째 기우제를 지냄.

5월 30일

• 종묘가 태실 11칸 규모로 중건됨. 공사기간 5개월 소요.

6월 4일

• 대행대왕(선조)의 시호를 고쳐 현문의무성예달효대왕(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이라 함.

6월 12일

• 선조를 목릉에 장례함.

6월 15일

• 명나라 사신 요동도사 엄일괴(嚴一魁)와 만애민(萬愛民)이 한성에 옴.

6월 20일

• 명나라 사신 엄일괴 등이 서강(西江)에서 임해군(臨海君)을 만나봄. 임해군이 다시 교동에 유배됨.

• 이덕형(李德馨) · 황신(黃愼)이 진주사(陳奏使)가 되어 명나라에 감.

6월 29일

• 태묘와 영녕전의 신위를 임시 종묘였던 민가로부터 옮겨 봉안함.

7월 4일

• 태묘의 이안(移安)을 서울과 지방에 포고함. 8일에 사면령을 내림.

7월 10일

• 별도로 기우제를 지냄.

7월 15일

• 임금과 내전이 동궁으로 거처를 옮김.

7월 16일

• 변응성(邊應星)을 한성부좌윤으로 삼음.

7월 30일

• 왕실의 지친이라도 난역(亂逆)의 죄를 범한 자는 《선원록(璿源錄)》에서 삭제하는 전례에 따라 임해군(臨海君)을 보계(寶係)에서 삭제하도록 함.

8월 1일

• 조정 사대부와 도성 백성들이 어렵게 운반하여 종묘 공역을 마치고 남은 재목과 기와를 헐값으로 팔아버린 당해 당상 · 낭청 · 감역관을 모두 파직시킴.

8월 20일

• 영녕전에 《선원록》을 그대로 봉안하고 나머지 빈 방은 종부시(宗簿寺)의 숙직소로 쓰도록 함.

이달

• 인정전 등 주요 전각들이 건립됨.

9월 15일

• 동호독서당(東湖讀書堂)의 복구를 논의함. 우선 한성 부근의 사찰에 서식하도록 함.

11월 9일

• 변응성(邊應星)을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12월 19일

• 중국 관복제도를 본보기로 하여 규식(規式)을 삼음.

12월 25일

• 문과중시에서 9명을 뽑고, 문과별시에서 14명을 뽑음.

이해

• 이원익(李元翼)의 진언으로 경기를 대상으로 대동법을 실시함. 곡식이 들어와 선혜청에 보관함.

• 상평창을 선혜창으로 개칭하고, 대동법 실시에 따라 대동미 · 포 · 전의 출납을 관장함.

• 돈화문을 중건함.

연관목차

899/1457
신축년(辛丑年), 16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