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종 39년 · 인종 즉위년, 갑진년(甲辰年), 1544년

조선 중종 39년 · 인종 즉위년, 갑진년(甲辰年), 1544년

1월 3일

• 윤개(尹漑)를 한성부좌윤으로 삼음.

1월 20일

• 의정부 연정(蓮亭) 담 뒤의 사가(私家)에 불이 남.

1월 21일

• 도성 안팎에 도둑이 성행하고 화재가 잇따름.

1월 22일

• 황헌(黃憲)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3월 13일

• 남부(南部)에 사는 고(故) 유지연(柳之淵)의 아내 최씨가 자원하여 기와집 39칸과 공지(空地)를 진상함.

3월 16일

• 우의정 윤인경(尹仁鏡)으로 하여금 모화관(慕華館)에서 습진(習陣)하도록 함.

3월 21일

• 임금이 성균관(成均館)과 사학(四學) 유생들의 1월 이후의 도기(到記)에서 20점이 찬 사람을 초계(抄啓)하게 함.

• 흉년으로 금주법(禁酒法)을 널리 밝히게 함.

3월 28일

• 임금이 인정전(仁政殿) 뜰에서 유생들에게 ‘진기무기책부(賑飢無奇策賦)’와 ‘영낙읍송(營洛邑頌)’이란 제목으로 시험을 보임.

4월 1일

• 임금이 선정전(宣政殿)에서 유생들을 강(講)함.

4월 3일

• 헌부의 청에 따라 해마다 흉년이 들어 시급하지 않은 역사는 일체 정지하여 유위군(留衛軍)인 수군에게 잡역을 시키지 말게 함.

4월 4일

• 문묘(文廟)에 종사(從祀)된 제현(諸賢)들의 명호(名號)가 잘못된 성균관의 위판을 고치게 함. 성절사가 중국에 갈 때 확인해 오게 함.

5월 3일

• 가뭄으로 모화관(慕華館)의 못가 및 경회루와 춘당대(春塘臺)에서 기우제를 올리도록 함.

5월 8일

• 가뭄이 절박하여 특별히 영검이 있는 곳에는 기우제를 올리도록 함.

6월 1일

• 무녀(巫女)가 비를 빌어 3일간 비가 오니 상을 내리게 하였으나, 정원의 반대로 그만 둠.

6월 23일

• 이언적(李彦迪)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7월 5일

• 한성부판윤을 지낸 윤은보(尹殷輔)가 죽음.

7월 15일

• 임금이 피전(避殿)을 중단하고 정전(正殿)으로 옮김.

7월 22일

• 허자(許磁)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7월 24일

• 경복궁 근정문(勤政門) 동수각(東水閣) 기둥에 벼락이 침.

• 벼락의 재변으로 대사(大赦)함.

8월 7일

• 허자(許磁)를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8월 12일

• 한성부좌윤을 지낸 유보(柳溥)가 죽음.

8월 18일

• 우맹선(禹孟善)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9월 9일

• 임금이 명정전(明政殿)에서 유생을 시험함.

• 유학(幼學) 이의(李儀)가 시장(試場)의 문을 들어올 때 밟혀 죽음.

9월 15일

• 임금이 인정전(仁政殿)에서 책문(策問)을 내어 유생을 시험하고, 모화관(慕華館)에 거둥하여 무과 24명을 뽑음.

9월 17일

• 문과전시(文科殿試) 23명을 뽑음.

10월 10일

• 윤사익(尹思翼)을 한성부판윤으로 삼음.

10월 11일

• 궁금(宮禁)에 여알(女謁)의 길이 있어 뇌물이 횡행한다는 말이 도성 안에 전파됨.

10월 16일

• 우의정 윤인경(尹仁鏡)으로 하여금 모화관(慕華館)에서 습진(習陣)하게 함.

11월 10일

• 임금이 병으로 창경궁으로 피전(避殿)함.

11월 11일

• 임금의 병으로 세자가 향을 관원에게 주어 종묘 · 사직 및 산천에 기도드리게 함.

11월 14일

• 임금이 전위(傳位)의 뜻을 밝힘.

11월 15일

• 임금이 환경전(歡慶殿) 소침(小寢)에서 승하함.

• 선인문(宣仁門)만 열어 놓고, 병조가 제위(諸衛)를 검속하여 내 · 외문(內外門) 및 숙위(宿衛)해야 할 곳들을 지킴.

• 빈전도감(殯殿都監)과 국장도감(國葬都監)을 설치함.

• 찬궁(欑宮)을 통명전(通明殿)에, 여차(廬次)는 여휘당(麗暉堂)에 설치함.

11월 17일

• 사직(社稷)과 종묘(宗廟)에 부음(訃音)을 고함.

• 대제학 성세창(成世昌) 등으로 하여금 대행대왕의 행장(行狀)을 짓게 함.

11월 20일

• 사왕(嗣王, 인종)이 의식대로 유교(遺敎)와 어보(御寶)를 받음.

• 인종이 창경궁에서 즉위하고 명정전(明政殿)에서 신하들의 하례를 받음.

• 중외에 사면을 반포함.

• 사직 · 영녕전(永寧殿) · 종묘 · 영경전(永慶殿)에 인종 즉위를 고함.

11월 28일

• 상왕(上王)의 능 자리로 희릉(禧陵) 옆을 쓰도록 정함.

12월 22일

• 한성부좌윤 한숙(韓淑)이 중국에 가서 국가를 욕되게 한 죄로 개정됨.

12월 23일

• 상왕의 능을 쓸 곳과 희릉(禧陵) 양 능 중앙에 새로 정자각을 조성하여 함께 제사지내도록 하고, 혼전(魂殿)은 선정전(宣政殿)에 배설하도록 함.

12월 27일

• 홍섬(洪暹)을 한성부우윤으로 삼음.

연관목차

834/1457
신유년(辛酉年), 15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