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발 5개년계획

경제개발 5개년계획

[ 經濟開發五個年計劃 ]

시대명 현대
연도 1962년 ~ 1986년

국민경제발전을 목적으로 5년 단위로 짜여져 추진되었던 경제계획. 외국자본의 적극적 도입을 통한 공업화가 <자립경제>와 <조국근대화>로 귀결된다는 서구 근대화론에 바탕을 두고, 정부주도하에 및 수출, 저임금·저곡가정책에 의존하여 추진되었다. 5·16 직후 군사정부가 민주당정권이 짜놓았던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토대로 1961년 7월 종합 경제재건 5개년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62년 1월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경제개발계획이 추진됨에 따라 <한강의 기적>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우리 경제는 고도성장을 이룩했으나, 경제의 대외의존이 심화되고 빈부격차 등 사회모순이 격화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주요지표와 그 성장률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주요지표와 그 성장률
구분 1차 계획
(1962~66)
2차 계획
(1967~71)
3차 계획
(1972~76)
4차 계획
(1977~81)
5차 계획
(1982~86)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국민총생산 산업별성장
농림어업
광공업
(제조업)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
인구
1인당 GNP
고정투자
상품수출
상품수입
취업인구

7.1
5.7
15.0
15.0
5.4
2.8
4.2
14.6
28.0
8.7
4.7

7.8
5.6
14.3
15.0
8.4
2.7
5.0
24.7
38.6
18.7
3.21)

7.0
5.0
10.7

6.6
2.2
4.7
10.2
17.1
6.5
3.3

9.7
1.5
19.9
21.8
12.6
2.2
7.3
17.9
33.8
25.8
3.6

8.6
4.5
13.0
13.3
8.5
1.55
7.0
7.6
22.7
13.7
2.9

10.1
6.1
18.0
18.7
8.4
1.7
8.2
11.1
32.7
12.6
4.5

9.2
4.0
14.2
14.3
7.6
1.6
7.5
7.7
16.0
12.0
3.2

5.6
-0.7
9.2
9.4
6.0
1.55
4.0
10.5
10.5
10.3
2.3

 7.6
 2.6
10.8
11.0
 7.3
  1.55
 5.9
 9.0
11.4
 8.4
 3.0

(연평균 증가율 : %)
1) 1963~66년 평균(자료 : 경제기획원,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 1982~86)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1962~66 주요골자는 다음과 같다. ①농업 생산력 증대 ②전력·석탄 등의 에너지 공급원 확충 ③기간산업 확충과 사회간접자본 충족 ④유휴자원 활용 ⑤수출증대로 국제수지 개선 ⑥기술진흥 등. 정유·비료·화학·전기기계 등의 기간산업과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에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졌다. 초기에 투자재원을 확보하지 못해 난관에 부닥쳤으나, 의 타결과 경제개방화 조치로 자본을 비롯한 외국자본을 대대적으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함으로써 고도성장의 궤도에 올라서게 되었다. 외자의존도가 60%에 이르는 가운데 당초 목표치인 7.1%를 웃도는 연평균 8.5%의 경제성장률을 이룩했으며, 1인당 GNP는 83달러에서 123달러로 높아졌다.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1967~71 중점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식량자급·산림녹화·수산개발 ②화학·철강·기계공업 건설에 의한 공업고도화 및 공업생산배가 ③7억 달러 수출 달성 ④가족계획 추진에 의한 인구억제 ⑤국민소득 증대 ⑥인적자원 개발. 이 기간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목표치 7%를 훨씬 상회하는 10.5%에 이르렀으나, 곡물수입은 4천만 달러에서 2억 7천만 달러로 급증했고, 의 증가와 국제수지의 만성적 적자라는 문제를 안게 되었다.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1972~76 고도성장 및 중화학공업화를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71년 8월의 <닉슨 쇼크>에 의한 국제통화질서의 붕괴, 73년 10월의 제1차 등으로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과 수출드라이브정책, 중동건설 붐으로 고비를 넘겨 연평균 11%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했다.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1977~81 성장·형평·능률의 기조하에 자력성장구조 확립, 사회개발을 통한 형평 증진, 기술혁신, 능률향상을 목표로 내세웠다. 77년에는 1백억 달러 수출달성, 1인당 GNP 944달러가 되었지만, 78년에는 물가고와 부동산투기·생활필수품 부족 등 고도성장정책의 부작용이 나타났다. 79년의 제2차 으로 경제가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80년에는 사회적 불안과 흉작이 겹쳐 마이너스 성장에까지 이르렀다가 81년부터 점차 회복세를 보여 7.1%의 실질성장을 기록했다.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1982~86 안정·능률·균형의 이념 아래 ①경제안정기반 정착과 국민생활의 안정에 의한 경쟁력 강화 ②고용기회의 확대에 의한 소득증대 ③소득계층간·지역간 균형발전에 의한 국민복지 증진에 목표를 두었다. 그 구체적 발전전략으로 ①10% 이내의 물가안정을 위한 구조적 인플레 요인 대폭 정비 ②7~8%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투자효율 극대화 및 저축증대 ③경쟁 촉진을 통한 시장기능 활성화 ④수출 주도전략 지속 및 대외개방정책 적극화 ⑤비교우위산업 육성 ⑥국토의 균형개발 및 환경보전 ⑦국민의 기본수요 충족 및 사회개발 적극추진을 내세웠다.

고도성성장의 요인·성과·문제점

먼저 고도성장이 가능했던 요인으로는 ①값싸고 풍부한 양질의 노동력 ②순조로운 ③정부의 적극적 지원에 의한 수출증대 ④·중동건설 붐 등 수요증대를 꼽을 수 있다. 고도성장의 성과로는 ①경제규모의 확대와 경제구조의 고도화 ②고용증대와 소득증대 등을 들 수 있다. 반면에 고도성장이 가져온 부작용으로는 ①자본·기술·시장 등 경제의 대외의존도 심화 ②외채누증 ③만성적 무역적자 ④농업·공업간, 대기업·중소기업간, 공업부문간 불균형 심화 ⑤계층간 소득격차 확대 ⑥물가상승 ⑦사치·낭비·퇴폐풍조 만연 등의 문제점을 낳았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점은 저임금·저곡가·장시간노동에 기반한 수출공업화정책으로 민중을 희생시키고, 를 내세워 민중의 생존권투쟁을 탄압하는 등 정치적·경제적 민주주의를 후퇴시킨 것이라 하겠다.

연관목차

982/1295
2. 민족분열과 예속의 심화
3. 경제개발과 민중수탈
4. 북한의 자주노선
5. 데탕트와 박정권의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