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건

망건

분류 정치/경제/생업 > 디지털리소스실 > 거래/물품 > 거래물품 3D
망건 본문 이미지 1

원천자료

망건 본문 이미지 2

고증자료

• 명 칭 : 망건
•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 설 명 : 상투를 틀 때 머리카락이 흘러내려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머리에 두른 운두 10cm 가량의 그물처럼 생긴 물건. 정식 관(冠)의 밑받침 구실도 하였다. 말총을 엮어 만들고(馬尾網巾), 곱소리(가늘고 부드러운 코끼리의 꼬리털), 머리카락으로도 만든다. 신분에 따라 망건에 달린 관자(貫子:망건고리)와 풍잠(風簪)의 재료가 달랐다.

망건은 중국에서 당(唐)나라 때부터 사용하여 명(明)나라 때에는 일반화되었다. 처음에는 실[絲]을 엮어 만들었고 나중에는 실 대신 말총을 썼다. 우리나라에서는 1419년(세종 2) 명나라 사신에게 마미망건(馬尾網巾)을 준 사실이 있고, 1451년(문종 2)에 재료로 말총을 사용하였다는 사실이 『문종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1488년(성종 19) 사신으로 온 명나라의 동월(董越)도 그의 『조선부(朝鮮賦)』에서 조선의 망건은 모두 말총으로 되어 있다고 기록하고 있어 한국에서는 조선 초에 말총으로 만든 망건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망건은 형태가 감투와 비슷하고 꼭대기에 구멍이 있어 그곳으로 상투가 나온다. 용도도 한국의 것과는 달리 염발(斂髮 : 머리를 쪽찌거나 틀어올림)과 함께 관의 용도를 겸하였다고 한다.

망건은 망건당 ·망건편자 ·망건앞 ·망건뒤의 4부분으로 구분된다.
① 망건당 : 말총으로 고를 맺어 두른 망건의 윗부분이다.
② 망건 편자 : 망건을 졸라매기 위하여 말총으로 띠처럼 굵게 짠 망건의 아랫부분이다.
③ 망건앞 : 앞싸개라고도 하는, 이마에 대는 부분으로 그물처럼 성기게 얽어 만든다.
④ 망건뒤 : 말총으로 촘촘히 얽어맨 망건의 양 끝으로 뒤통수를 감싸는 부분이다.

망건의 사용법은 먼저 망건당에 걸린 윗당줄로 뒤에서 머리를 졸라 상투에 잡아맨다. 편자 끝에 달린 아랫당줄은 뒤에서 서로 엇바꿔 좌우 관자에 꿰어 내린 후 다시 망건 뒤로 가져가 좌우를 엇결어 매고, 두 끝을 상투 앞으로 가져다 동여맨 다음 상투에 동곳을 꽂는다.

망건의 부속물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관자 : 망건의 아랫당줄을 꿰는 지름 1.2cm 내외의 고리. 편자의 귀 부근에 달려 있고 관품에 따라 재료·새김장식이 다르다. 1품은 조각 없는 질이 좋고 작은 옥관자(민옥관자 ·도리옥이라 함), 정2품은 조각 없는 소형 금관자(도리금), 종2품은 조각한 대형 금관자, 정3품은 조각한 대형 옥관자이다. 그 밖에 대모(玳瑁:거북이 등딱지) ·마노 ·호박 ·골 ·각 등으로도 만들었다. 조각한 무늬는 주로 화(花) ·죽(竹) ·연(蓮) 등이다.
② 풍잠(風簪) : 망건의 당 중앙을 꾸미는 장식품으로 갓을 고정하는 구실을 한다. 갓모자가 풍잠에 걸려 바람이 불어도 갓이 뒤쪽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상류층에서는 대모 ·마노 ·호박 등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은 골 ·각을 사용하였다.

※ 자료참조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D

출처: 문화원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