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정치/경제/생업 > 디지털리소스실 > 거래/물품 > 거래물품 3D
징 본문 이미지 1

원천자료

징 본문 이미지 2

고증자료

• 명 칭 : 징
•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 설 명 : 제의나 놀이에 쓰이는 타악기.
징은 들거나 매달아 놓고 나무에 헝겊을 싼 징채로 쳐서 소리를 내는데, 종묘제례악, 무악, 법악, 풍물과 군대의 취타 등에 쓰였다. 고대 중국에서 처음 썼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공민왕 때 수입되었다.

징은 암징과 숫징이 있는데 암징은 저음이고 숫징은 고음이다. 징은 놋쇠를 방짜하여 만들었으나, 최근에는 틀에 찍어 만들어 내기도 한다.

연주 방법은 취타나 농악에서는 왼손으로 들고 오른손으로 징채를 잡고 치지만 관현합주나 사물놀이에서는 걸어놓고 앉아서 친다. 또 굿에서는 바닥에 엎어놓고 치기도 한다.

징은 어떤 징채로 어디를 치는가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는데, 머리가 굵고 솜이나 실로 떠서 만든 채로 치면 웅장하면서도 부드럽고 낮은 소리가 나며 딱딱한 나무나 쇠로 된 채로 칠 경우 강하고 날카롭고 높은 소리가 난다. 또한 두껍고 부드러운 채로 징의 한가운데를 치면 여음이 길고 부드러운 소리가 나며, 중간부분을 벗어나거나 옆모서리를 치면 울림이 산만하고 시끄러운 소리가 난다.

※ 자료참조 : 시장 촬영

3D

출처: 문화원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