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인

상장인

분류 정치/경제/생업 > 디지털리소스실 > 상인 > 장인 2D
상장인 본문 이미지 1
상장인 본문 이미지 2

원천자료

상장인 본문 이미지 3

고증자료

• 명 칭 : 상장인
•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말~20세기 초)
• 설 명 : 밥상, 제상, 책상, 평상 등을 제작하거나 수리하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
상은 비교적 이동거리가 짧거나 별로 옮기지 않는 데 반해, 반은 담아서 옮기는 데 쓰이는 기능이 크다. 이러한 반은 다리가 없거나 짧은 발이 달린 것이 보통이다. 상의 재료는 금속, 돌, 흙, 나무, 대나무 등이며, 형태에 따라 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이 있고, 다리 형태에 따라 반상으로 대별된다.

한국 반상(盤床)의 역사는, 5~6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인 각저총 , 무용총과.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에 처음 나타난다. 유물로는 낙랑삼족동반(樂浪三足銅盤)이 있다. 『삼국사기』 <잡지 직관조>에는 궤(机)와 반(盤)을 관장하는 궤개전(机慨典), 궤반국(机盤局)이라는 부서가 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사』 <예지>에는 물목의 이름 중에 조안(詔案), 서안, 향안 등의 명칭이 보인다. 조선 순조 때 『수원행궁 비품대장』에는 흑칠고족상(黑漆高足床), 중원반(中圓盤), 평반(平盤) 등의 명칭이 보인다.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의하면, 수라상에는 원반, 곁반, 책상반의 세 가지가 있다고 되어 있다. 조선 후기 상은 주로 밥상을 의미하는 말로 통용된다.

※ 자료참조 : 『사진으로 보는 조선시대 - 생활과 풍속 상』 / 조풍연 해설 / 서문당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