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장수

유기장수

분류 정치/경제/생업 > 디지털리소스실 > 상인 > 점포상인 2D
유기장수 본문 이미지 1

원천자료

유기장수 본문 이미지 2

고증자료

• 명 칭 : 유기장수
•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말~20세기 초)
• 설 명 : 유기로 만든 용기 판매를 그 업으로 하는 사람.
유기의 제작은 청동기시대부터 이루어져 그 제작기법이 오늘날까지 면면히 이어져 왔다. 신라시대에는 관에서 유전(鍮典)이라는 전문기구를 설치하여 유기제작 기술자와 유기생산을 관장하였고, 조선시대에도 경공장(京工匠), 외공장(外工匠)에 속한 유장(鍮匠)을 두고 관수 유기를 제작하여 공급하였다.

대체로 유기제작의 기법에는 쇳물을 녹여서 그릇의 형태를 이루는 주물유기(퉁쇠), 놋쇠를 메로 쳐서만드는 방짜[方字], 또 주물과 방짜를 병행하는 반방짜유기 등 세 가지가 있다. 이 중에 망치 하나로놋쇠를 두들기고 펴서 모양을 만드는 방짜유기 제작이 가장 까다로워서 그 제품을 으뜸으로 했다. 방짜에 쓰는 놋쇠(황동 : 黃銅)는 순동(純銅)과 납이 1:4의 비율로 정확히 합금된 것으로 다른 성분이 조금만 섞여도 모양이 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납청의 양대는 큰 양대, 즉 놋동이, 놋비치, 놋양푼, 놋요강, 놋주전자 등 큰 그릇을 만들었으나, 지금은 각종 식기류 제품이 우수하다. 그밖의 방짜유기는 함양 김천의 농악기 제작이 알려져 있다. 주물유기는 안성을 비롯하여 경주, 봉화, 충주, 익산, 운봉 등지에서 생산되었는데, 특히 안성유기장이 유명했다. 반방짜유기는 전라남도 순천지방에서 그 지방의 독특한 제조기법을 전수하여 보유하고 있다.

방짜유기에는 대야, 양푼, 식기, 수저 외에 징, 꽹과리 등이 있고, 주물유기에는 촛대, 향로, 화로 등이 있다.

※ 자료참조 : 『사진으로 보는 조선시대 - 생활과 풍속 상』 / 조풍연 해설 / 서문당 소장

3D

출처: 문화원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