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

전립

분류 정치/경제/생업 > 디지털리소스실 > 거래/물품 > 거래물품 3D
전립 본문 이미지 1

원천자료

전립 본문 이미지 2

고증자료

• 명 칭 : 전립
•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 설 명 : 전립은 조선시대 무관이 착용하던 모자이다.
주로 군복차림에 사용하였으므로 전립(戰笠)이라고도 하고 재료가 짐승의 털을 다져서 만들었으므로 전립(氈笠)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북방계 호족의 모자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는데 정확한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 중엽에 이르러 군사들 사이에 널리 사용되었고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이후 무관은 물론 사대부까지 융복차림에 착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철릭을 입고 전복을 착용한 후 전립을 머리에 썼다. 상중(喪中)에는 백전립을 썼으며 전령복이나 사대부가의 하인 등이 흑의에 전립모양의 벙거지를 착용하였다. 무복(巫服)으로 전립을 쓰기도 하고 농악(農樂)을 하는 사람들이 ‘돌모’라고 하여 착용하기도 한다.

모자의 형태는 대우와 양태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패랭이와 유사하다. 모자는 둥글고 높게 만들었고 전은 넓고 평평하게 만들었다. 신분에 따라 공작 깃털·상모·정자 등을 꽂아 지위를 구분하였다. 지위가 높은 무관은 품질이 좋은 모(毛)로 만들고 매미모양의 밀화와 밀화갓끈을 달았는데 이러한 것을 특별히‘안올림벙거지’라 하였다. 일반군인의 모자는 ‘벙거지’혹은 ‘벙테기’라고 하는데 주로 조잡한 돈모(豚毛)로 만들었고 별다른 장식이 없는 검정색이다.

붉은 색 전(氈)으로 만든 홍전립(紅氈笠), 주전립이나 댓개비로 만든 죽전립(竹戰笠)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전립이 전투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게 되자 사치스러운 차림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차림은 논란이 많았으나 조선시대 말기까지 왕의 행차와 같은 때에 군복과 함께 사용되었다.

※ 자료참조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D

출처: 문화원형백과